섹션

서울 설 차례상 비용 전통시장 22만4천원·대형마트 25만8천원

서울에서 설 차례상을 준비할 때 전통시장을 이용하면 약 22만4천원, 대형마트는 약 25만8천원이 들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이달 13일 시내 전통시장 16곳, 대형마트 8곳, 가락시장 내 가락몰 등 유통업체 총 25곳을 대상으로 차례상 차림 비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조사는 6∼7인 가족 기준으로 34개 주요 성수 품목 가격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전통시장 구매비용은 22만4천40원으로 대형마트(25만8천854원)보다 3만4천814원(13.4%) 저렴했다.

작년과 비교하면 전통시장 비용은 1.0%, 대형마트 비용은 2.5% 올랐다.

설 명절 과일
[연합뉴스 제공]

전통시장은대형마트에 비해 13.4% 정도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은 대형마트보다 과일(배·곶감), 임산물(대추·밤), 나물(고사리·도라지), 채소(시금치·대파·알배기배추), 수산(부세·다시마·동태), 축산(한우 양지·돼지고기·닭고기), 가공식품(두부·맛살·약과)이 가격이 낮았다.

대형마트는 과일(사과), 채소(무), 축산(한우 우둔살), 양곡(쌀), 가공식품(밀가루·다식·청주·식혜)을 상대적으로 저렴했다.

가락시장에 인접한 가락몰 구매비용은 21만4천498원으로 작년보다 5.3% 상승했다.

다만 전통시장, 대형마트와 비교했을 때 각각 4.3%, 17.1% 저렴했다.

설 차례상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제공]

가락몰은 타 유통업체(전통시장, 대형마트)에 비해 채소(대파), 임산물(대추), 나물(고사리, 도라지), 수산(동태, 다시마, 북어포), 축산(한우우둔살, 돼지고기, 닭고기, 달걀), 양곡(쌀), 가공식품(밀가루, 두부, 부침가루, 맛살, 약과, 청주 등)이 저렴했다.

품목별 수급 동향을 보면 일부 과일 품목이 생육기 고온으로 낙과·열과 현상이 발생해 생산량이 줄면서 가격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일부 채소 품목 또한 이상기후로 생육이 좋지 못해 가격 강세가 예상된다.

축산물은 수급이 안정돼 작년보다 시세가 소폭 오를 전망이다. 수산물은 정부 비축 물량 방출 등으로 설 성수기 공급은 비교적 안정적일 것으로 보인다.

사과(부사)는 고온으로 낙과·열과 비율이 증가하고 착색이 지연되는 등 작황 부진으로 가격 강세가 전망된다. 배(신고) 또한 작황 부진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고시세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설 선물로 인기인 만감류(한라봉·천혜향·레드향) 중 한라봉, 천혜향의 경우 전년과 비슷한 생산량을 보이며, 레드향은 생산량 감소로 시세 상승이 예상된다.

정부는 설 성수기에 안정적으로 무와 배추를 공급하기 위해 정부 가용 물량 중 총 11,000t을 하루 200t 이상 방출하고, 무·배추의 할당관세(0%)를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해 수급을 안정시킬 계획이다.

소고기(한우)는 도축 마릿수 감소 등 영향으로 시세가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이나 돼지고기는 가격이 유독 낮았던 전년 1월과 비교해 시세는 다소 상승하겠으나 수급은 안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참조기·명태는 이상기후로 수온이 상승해 어획량이 감소 추세다.

정부는 설을 맞아 참조기와 명태를 포함한 대중성 어종 6종(오징어, 고등어, 갈치, 마른멸치)을 평소보다 많이 시장과 마트에 공급하고, 최대 50% 까지 할인판매 한다.

시는 23∼27일 가락몰에서 일정 금액 이상 수산물 구매 시 온누리상품권을 증정하는 행사를 진행한다.

공사 문영표 사장은 "설 명절 맞아 특히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한다면할인율이 기존 10%에서 15%로 상향되고 결제액의 최대 15%를환급받을 수 있어 가락몰에서 보다 알뜰한 장보기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사는 또 홈페이지(www.garak.co.kr)를 통해 24일까지 가락시장 주요 설 성수품의 거래 동향을 매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