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10∼12월)에도 영끌이 이어지면서 작년 말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전체 가계 빚(부채)이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새로 썼다.
다만 3분기보다는 주택 거래가 줄고 은행권과 금융당국도 가계대출 관리에 나서면서 가계 빛 증가 속도는 둔화됐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927조3천억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13조원 늘었다. 이는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다만 4분기 증가 폭(+13조원)은 3분기(+18조5천억원)보다 줄었다.
![가계신용 가계신용](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7506/image.jpg?w=560)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가계대출 잔액은 1807조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10조6천억원 늘었다. 다만 가계대출 증감액을 보면 작년 3분기 16조7조원에서 4분기 10조6천억원으로 증가폭은 줄었다.
4분기 판매신용 잔액은 130조3천억원으로 2조4천억원 증가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966조1천억원)이 3개월 동안 6조9천억원 늘었다.
![대출 대출](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6122/image.jpg?w=560)
주택담보대출이 7조3천억원 불었지만, 기타 대출은 4천억원 줄었다.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10조3천억원)은 6조원 증가했다.
3분기 1조7천억원 감소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주택담보대출이 7조원 급증했다.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1조원 줄었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잔액 530조6천억원)은 2조4천억원 감소했다. 보금자리론 등이 상환되고 증권사 신용공여가 감소세를 유지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