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2월 금융권 가계대출 4.3조 증가 "가계대출 재개·이사수요"

연초 줄어들었던 금융권 가계대출이 주택거래 회복, 금리 인하 등과 함께 지난달 4조원 넘게 다시 늘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12일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금융권 전체 2월 가계대출 잔액(1672조원)은 전월보다 4조3천억원 증가했다.

지난 1월 10개월 만에 9천억원 줄었다가 한 달 만에 다시 늘었다.

은행(+3조3천억원)과 2금융권(+1조원) 모두 불었고, 2금융권 중에서도 특히 상호금융권(+8천억원)의 증가 폭이 컸다.

대출 종류별로는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5조원 늘면서 전월(+3조2천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권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확대(+1조7천억원→+3조5천억원)되었으며, 제2금융권은 전월과 유사한 증가폭(+1.5조원→+1.5조원)을 유지하였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6천억원 줄었지만, 전월(-4조1천억원)과 비교해 감소 폭이 축소됐다.

이는 신용대출이 증가세로 전환(-1조5천억원→+1천억원)된 점 등에 따른 것이다.

금융당국은 “2월 가계대출은 금융권이 연초 새로운 경영목표 하에서 가계대출 취급을 본격적으로 재개하고 신학기 이사수요 등이 겹치며 다소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주택도시기금 재원의 디딤돌·버팀목 상환이 확대되고 신학기 수요 해소 등으로 3월 들어 주택담보대출 실행이 감소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충분히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다만, “부동산 규제가 완화된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인 주택가격 상승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가계부채 관리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관계부처간 긴밀한 공조 아래 지역별 주택시장 상황과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주택시장 상승폭 확대 우려로 인해 과도한 불안심리가 확산되거나 투기·시장교란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같은 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서 2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43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은 1월 말보다 3조3천억원 큰 규모다.

주택담보대출
[연합뉴스 제공]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07조7천억원)은 3조5천억원 불었다. 은행권 대출 취급 재개, 이사철 자금수요 등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5조1천억원)은 2천억원 줄었다. 작년 12월 이후 3개월째 감소세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의 경우 1월 설 상여금 유입 효과 등이 사라지면서 감소 폭이 1월 2조1천억원에서 2월 2천억원으로 크게 줄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은행의 기업 대출도 2월 3조5천억원(잔액 1천326조4천억원) 늘었다. 증가 폭은 1월(+7조8천억원)보다 축소됐다.

대기업 대출은 전월 일시 차입했던 운전자금이 상환되면서 증가규모가 전월 6조1천억원에서 4천억원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

중소기업대출(+1조8천억원 → +3조1천억원)은 일부 은행의 정책성 대출 취급확대 등으로 중소법인을 중심으로 증가폭 확대됐다.

수신(예금)의 경우 지난달 예금은행에서 24조8천억원(잔액 2천426조1천억원) 늘었다.

수시입출식예금이 기업 결제성 자금 등의 유입으로 10조원, 정기예금이 은행의 규제 비율 관리를 위한 예금 유치 등으로 16조원 각각 증가했다.

StatCounter - Free Web Tracker and 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