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KDI "환율 1,500원 되도 물가목표 2% 수준 머물듯"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수준까지 상승해도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인 2%를 크게 상회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강달러 현상에 따른 환율 상승은 원화 약세에 따른 환율 변동과 달리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개발연구원
[연합뉴스 제공]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9일 이런 내용이 담긴 현안 분석 보고서 '최근의 환율 변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김준형·마창석 연구위원)을 발표했다.

보고서는 원/달러 환율이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무역통계 자료를 활용해 분석했다. 총 50개 국가, 약 1만개의 품목이 분석 대상이 됐다.

통상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단기적으로 달러로 결제되는 수입품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점차 가격 상승 영향으로 수요가 줄고 양국 간 재정환율이 반영되면서 수입품 가격은 하락하는 등 조정을 받는 경향이 있다.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제공]

이때 원/달러 환율 상승 요인이 '강달러'인지, 국내 요인으로 인한 '원화 약세'인지에 따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이 보고서의 설명이다.

'원화 약세'에 따른 '환율 상승→물가 상승' 효과는 미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 수입품 전반에 광범위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물가 상승 압박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분석 결과 달러화 요인으로 원/달러 환율이 1%p 상승하면 같은 분기에 수입품 가격은 0.49%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1년 누적으로는 0.25%p로 물가 상승 폭이 축소됐다.

원/달러 환율이 미국으로부터 수입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도 시간이 지날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 요인으로 원/달러 환율이 1%p 오르면 달러를 제외한 통화 대비 원화 환율도 1%p 상승했다.

또한 수입품 가격은 같은 분기 0.58%p 상승한 뒤 1년 누적으로는 0.68%p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과 소비자 물가 간 관계를 보면 달러화 요인과 국내 요인으로 환율이 1%p 상승할 경우 같은 분기에 소비자물가는 각각 0.04%p 상승해 차이가 없었다.

반면 1년 누적 기준으로는 강달러에 따른 환율 상승이 소비자 물가를 0.07%p 상승시킨 반면 원화 약세는 0.13%p 끌어올렸다.

보고서는 작년 4분기 원/달러 환율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분 0.31%p 중 0.20%p가 강달러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1분기에는 강달러 영향이 커지면서 환율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분은 0.47%p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제공]

최근 강달러에 따른 환율 상승이 단기적으로는 수입품 가격을 상승시켜 소비자물가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겠으나, 그 지속성과 파급력은 국내 요인에 따른 환율 상승보다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KDI는 말했다.

보고서는 "최근의 환율 변동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작년 2분기 이후 국내 요인의 영향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된 반면, 미 달러화 요인의 영향은 올해 1분기에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말했다.

작년 4분기 소비자물가는 원/달러 환율의 변동으로 전년동기대비 0.31%p 상승했으며, 그중 0.20%p는 미 달러화 요인에 기인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올해 1분기 원/달러 환율의 변동이 소비자물가를 0.47%p 상승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요인이 유지되는 가운데 달러화의 영향은 더욱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올해 2분기 원/달러 환율이 국내 요인으로 1,500원까지 상승하면 물가상승률이 시간차를 두고 1분기 대비 최대 0.24%p까지 추가 상승한 뒤 점차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강달러 영향으로 환율이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3분기 0.19%p까지 상승한 뒤 그 영향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환율
[연합뉴스 제공]

국내요인으로 상승하는 경우 4분기에 물가상승률이 0.24%p 상승한 후 점진적으로 조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2분기 환율이 달러화 요인으로 1,400원까지 하락하면 4분기 물가는 1분기보다 0.29%p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요인으로 환율이 1,400원까지 하락하면 4분기 물가는 0.44%p 하락하고 내년에는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봤다.

보고서는 "1분기 물가상승률이 2.1%이고 수요 압력이 여전히 낮다는 점을 감안하면 환율이 1,500원까지 상승해도 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2%)를 크게 상회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분석했다.

KDI는 "환율 변화 자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는, 그 원인에 따른 물가상승률 변동폭과 지속성을 감안하여 대응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라며 "달러화 요인으로 환율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그 영향이 단기에 그칠 수 있음을 감안하여 통화정책을 수행할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환율 상승세가 장기간 지속되거나 국내 요인의 영향이 확대될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수 있으므로, 향후 환율 추이와 변동 배경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거시 정책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