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중소기업들이 수출지원 대책으로 ‘수출금융지원확대’를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136개사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09년 무역일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바라는 수출지원 대책은 ▲“수출금융지원확대”가 27.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해외마케팅 지원확대”(26.0%), ▲“안정적 환율운용”(22.9%), ▲“기술개발지원”, “신규시장정보제공”(10.4%)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물량 감소에 따른 대처방안으로는 “새로운 수출거래선 발굴”을 발굴하겠다는 응답이 27.1%로 가장 높아 현재의 경제위기 상황에서 수출거래선 다변화 등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 확대가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역금융 이용시 애로사항은 “무역금융한도 축소”가 18.4%로 가장 많았고, “무역금융 대출금리 상승” 14.7%, “신규무역 금융지원거부” 11.7%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자간 FTA 추진상황에 비해 응답기업의 52.9%가 현재 “FTA정보를 활용하지 못한다“라고 응답하여 기업의 FTA정보 활용능력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판로개척에 활용한다“는 업체가 15.2%, ”가격경쟁력 확보에 활용한다“가 13.0%, ”제품생산 및 수입에 활용한다“가 4.3%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하여 작년 대비 금년 수출이 “줄어들 것이다”라는 전망은 45.6%로 가장 높았으며, “올해와 비슷” 하다는 25.7%, “증가할 것이다”라는 응답은 26.5%로 나타났다.
거래국별로 살펴보면, ASEAN국가와 EU에서 “증가할 것이다”라는 응답이 42.1%, 41.7%로 나타나 비교적 이들 지역에 대한 수출전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라 수출경기 둔화가 시작된 만큼 수출지원을 위한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책이 요구된다”며, “새로운 수출거래선 발굴 및 해외마케팅에 대한 적극적 지원, 안정적 환율운용 및 새로운 환헷지 상품개발, 대출금리인하 등 금융지원 및 FTA 정보 기업 맞춤형 컨설팅 제공 등 국제환경변화에 따른 복합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