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잇달아 사이버 테러에 대비한 컨트롤 타워의 중요성이 제기됐지만 허공에 울린 메아리였다.
9일까지 3차에 걸친 사이버 테러가 한 국가의 전산망을 휘젖고 있지만 보안정책을 진두지휘할 총괄기구도 없는 우리나라는 '누가? 왜?' 이런 일을 벌이고 있는지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방통위, 국정원, 지경부, 행안부 등 여러 기관들이 동분서주 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대응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방통위는 지난 7일 오후 6시 40분 처음 DDoS 공격을 확인한 후 6시간이 지난 8일 새벽 1시 30분에야 대국민 경보를 발령하며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IT강국이라는 구호가 무색할 정도로 정부와 민간의 핵심사이트는 손한번 못써봤다.
이번 DDos공격은 초보적인 기술을 이용한 공격이나 지속적이고 파상적인 공격이 가능해 국가전산망의 파괴, 국가정보유출, 주요 국가산업기술유출을 목적으로 했다면 끔찍한 결과를 초래했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평소 기업과 정부 기관이 소통할 수 있는 공동 채널을 만들고 가장 시급하게 정보보호 정책을 총괄할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DDoS 방어 장비 구축, 공격 루트를 차단할 수 있는 관제 서비스 활성화 등과 법적, 제도적 장치도 긴급히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후약방문’식 대책으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국가 차원의 강력한 대응체계 마련하고 국회에서 표류하고 있는 “사이버위기관리법”이 조속히 제정 될 수 있도록 여야 의원들이 협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