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부,사이버 보안관 3000명 양성

정부가 내년말까지 사이버보안관 3천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또한 군사 영역에서의 사이버 테러에 대응할 사이버부대를 새롭게 편제하고 지난 7 · 7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 같은 상황에 대비해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국가 기관 간 역할을 분담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 11일 청와대, 국가정보원, 방송통신위원회, 국방부, 행정안전부 등이 참가한 가운데 이와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국가 사이버 안전 전략회의’를 열어 종합대책을 확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종합대책에 따르면, 국가 사이버 위기가 발생할 경우, 국정원이 민관 합동 범정부 대책기구를 구성해 위협 분석 및 경보 발령, 외국과의 공조 등 총괄 역할을 맡는다.

방통위는 사이버 공격에 사용되는 좀비PC 제거 ,대국민 사이버 안전 홍보 업무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국방부는 현재의 사이버부대를 새롭게 편성해 군통신 및 군사 정보에 관련된 사이버 공격에 대응키로 했다.

한편, 정부는 민간분야에서는 기업 정보보호 등을 위해 사이버보안관 3000명 등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학교와 직장, 그리고 민방위 훈련시 사이버 보안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자동차나 조선 등 산업별 협회에는 해킹 등을 통한 산업기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관제센터가 설립(ISAC)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