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국산 우주망원경 우주 궤도 안착

국내 연구진에 의해 100% 우리 기술로 개발된 우주망원경이 러시아 과학위성에 실려 무사히 우주궤도에 안착했다.

교과부는 지난 18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루 기지에서 발사된 러시아의 '소유즈-2 로켓'에 실린 기상위성 'METEOR'와 과학위성 'TATIANA-2'가 우주 궤도 800km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된 후, 정상적으로 궤도에 진입해, 약 2시간 후 지상과의 첫 교신도 성공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고 20일 밝혔다.
 
국내 이화여대 박일흥 교수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어 탑재된 우주망원경은 발사 후 하루 동안 운용한 결과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우주망원경의 임무는 최근에 '메가번개'로 소개되고 있는 고층대기 극한방전 현상을 규명하는 것이며, 적어도 1년 이상 800km 우주 상공에서 지구를 내려다보며 활동할 예정이다. 

박 교수팀이 개발한 추적망원경은 초미세 거울을 이용해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발생해 빠르게 날아가는 물체를 순간적으로 포착해 추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빛과 같은 속도의 광원같은 물체도 포착가능하며, 지상에서 작동하면 수 미터앞에 날아가는 총알도 쫓아갈 수 있다고 전해졌다.

박일흥 연구단장은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대형 추적망원경을 제작해 무작위로 발생하는 천체 현상의 최초 순간 관측을 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