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H 파란이 영화다운로드 시장 첫 입성을 알린 뒤 이어 네이버와 다음이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최근 인터넷 포털의 영화 다운로드 사업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자 국내 다운로드 시장서 주를 이루던 P2P업체등 관련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NHN은 지난 16일 폐막한 부산 영화제 기간에 '놈놈놈', '친절한 금자씨' 등 출품작 20여편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포털 네이버에서 서비스했다.
이 영화들은 CJ엔터테인먼트가 온라인 판권을 보유한 작품들로서 온라인에서 정식으로 첫 서비스가 된 것들이다.
비록 시범 서비스이긴 하나 NHN와 CJ엔터테인먼트가 올해안으로 콘텐츠 유통 합작법인 설립을 예고한 상태라 관련업게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 기간동안 네이버는 3개월 내 최신영화는 3500원, 3∼5개월 영화 2000원, 개봉 1년이 넘은 영화는 1000원으로 서비스했다.
한편, 포털 다음은 지난 6월 말 씨네21i 등의 업체와 제휴맺고 다운로드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연 바 있다. 최근 영화와 드라마 공급을 대폭 늘이며 다운로드 시장에 사실상 진출했다.이미 주간 방문자 380만 명을 기록, 업계 1위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KTH는 종합 포털로는 최초로 영화 다운로드관을 개설해 진출한 뒤 현재 수익이 3배로 늘어나는 등 사업이 빠르게 안착되는 중이다. 해외 드라마 등 영상 전반에 걸쳐 500여 타이틀을 제공하고 제휴 업체도 늘리고 있다.
이밖에 음악 포털 벅스가 얼마전에 소니, 워너브러더스와 계약을 맺고 국내 단독으로 직배 영화 합법 서비스를 시작했다는 소식도 있다.
이처럼 포털의 가세는 콘텐츠 다운로드 업계에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시장 주도권이 포털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고 이용 연령대도 10대와 20대 위주에서 중장년층으로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KTH 관계자는 “합법 다운로드가 6개월 간격으로 5배 가량 성장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향후 3년 정도면 연간 3000억 원 시장이 예상된다”며 “수익도 크지만 이용자를 락인(lock-in)’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페이지뷰 상승 등 시너지도 예상 된다”고 밝혔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의 26.5%가 지난 1년 간 웹하드·P2P를 이용해 콘텐츠를 내려받은 적이 있고 시장 규모도 매년 5배 이상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불법 영화파일 신고포상제를 시행하고 있는 시네티즌이 인기 P2P사이트와 웹하드 등에서 유포현황을 조사한 결과, 액션영화 '펄햄123'이 1위 차지, 이어 애니메이션 '나인'과 로맨틱 코미디 '프로포즈', 피터 잭슨감독의 '디스트릭트9' 등 최신 개봉작들이 나란히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