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대기업 성장엔진, 韓-녹색사업·日-사업서비스

우리나라 대기업 상장사들은 제조업 신규사업 확장, 신재생에너지와 환경산업 진출에 활발한 반면, 일본의 대기업 상장사들의 경우 사업서비스업 진출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2일 한국과 일본의 대기업 상장사들(코스피 761개사, 도쿄 1부 1,702개사)을 대상으로 올해 주총에서 정관에 신규로 추가한 목적사업 현황을 발표했다.

전경련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제조업을 추가한 기업이 80개사로 가장 많았고,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이 38개사, 도소매업이 37개사, 폐기물 처리·환경재생 등 환경산업이 36개사로 그 뒤를 이었다. 일본 상장기업들은 '사업서비스업'을 신규사업으로 추가한 기업이 69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제조업은 55개사, 금융보험업은 38개사, 도소매업은 26개사 순으로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비스산업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서비스업의 경우 일본에서 신규사업으로 등록한 업체 수가 한국의 3배 가량 되었으며, 이는 저출산 고령화, 공공부문의 민간개방 확산, 서비스업 규제완화 등으로 인한 일본내 서비스 수요 확대와 더불어 서비스생산성 제고대책, 세제혜택 등 정책지원 확대의 결과로 보인다.

특히, 일본은 26개 업체가 사업서비스업 중 인력파견, 고용알선 등 인력아웃소싱 사업을 신규로 추가한 반면 국내 기업은 거의 없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경직적인 노사문화, 파견제한, 직업소개사업의 가격규제 등으로 고용서비스 시장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90년대말 일본정부가 가격규제 완화, 파견연장, 제조업 인력 파견 허용 등의 개혁을 단행하면서 일본내 고용서비스시장이 발달했으며, 기업들도 비용절감, 수익개선을 위해 제조업, 도소매업 등 노동집약업종을 중심으로 인력아웃소싱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내년에 1,500억달러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 예상되는 탄소배출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제조업체들이 주로 관심을 보인 반면 일본은 매매·중개가 주업인 글로벌 종합상사들이 주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국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협약 논의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탄소배출권 시장에서의 실질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국내 종합상사들의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은 이번 조사결과에 대해 "기업들이 신재생에너지 산업과 환경산업에 활발히 진출하고 있는 것은 신성장동력 확보나 녹색성장 추진 차원에서 시의적절하다"면서도, "일본의 사례에서 나타났듯이 고부가가치 업종인 사업서비스 분야에 대한 관심도 제고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