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 아이폰의 국내 시장진출에 삼성전자가 옴니아2의 출고가를 인하한데 이어 이동통신사 SKT의 보조금이 확대되며,최신 스마트폰 '옴니아2'의 가격이 대폭 낮아졌다.
1일 업계에 따르면, KT가 출시하는 아이폰 예약대수가 6일만에 6만5000대가 넘는등 영향력이 커지자,옴니아2를 출시하는 삼성 및 SKT 측에 의해 옴니아2의 가격이 출시 한달 반만에 반토막이 됐다.
10월 중순 SK텔레콤을 통해 출시된 옴니아2(2GB)의 출고가는 92만4천원이었으나, 아이폰 출시 소식에 가격이 9만원정도 내려갔고,SK텔레콤의 전폭적인 보조금지원속에 할부약정시 절반도 안되는 가격에다, 요금제 선택에 따라서는 공짜폰으로도 옴니아2를 가질 수 있게 됐다.
이렇듯 삼성이 옴니아2의 출고가를 낮추는 과정에서 오히려 일반 휴대전화인 아몰레드의 가격보다 떨어지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성능이 뛰어난 스마트폰이 가격이 더 비싸게 마련인데, 일반 휴대폰 '아몰레드'보다 가격이 더 떨어지는 '출고가 역전' 현상이 발생한 것.
반 토막난 가격의 옴니아2에 비해 삼성의 아몰레드폰은 지난 7월 출시 이후 지금까지 89만9800원의 출고가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요금제에다 약정시에도 역시 두 제품의 가격차이는 25~30만원 가량이 나오고있다.
옴니아2는 3.7인치 WVGA(800x480) AM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탑재해 '아몰레드'의 3.5인치보다 크며, 아몰레드에 없는 와이파이(WiFi)도 탑재했다. 윈도 모바일 운영체제(OS)와 각종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제조원가가 아몰레드보다 비쌀 수밖에 없는 상황.
삼성이 옴니아2의 출고가를 아몰레드보다 낮게 책정한 것이 경쟁사의 아이폰에 대한 지나친 의식때문이라는 지적을 면치 못하게 되는 대목이다.
한편,고가 스마트폰 T옴니아2를 선구매한 고객들은 보조금정책을 크게 바꿔 출시한 SK텔레콤측에 대한 항의와 불만들이 커져만 가고있다.
소비자입장에선 1주일 가량만 늦게샀더라도 90만원짜리 단말기 가격을 요금제에 따라 40%정도 할인된 가격에다 경우에따라서 공짜로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SKT 측으로부터 별도의 혜택을 받기 힘들다는 대답을 듣게 된 소비자들은 억울할 수밖에 없게 됐다.
SKT측은 "휴대폰의 경우 이동통신사의 보조금 정책에 따라 다른 제품도 매일 가격이 바뀌는데다, 이경우가 선례로 남을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T옴니아2 구입 고객에게만 혜택을 줄 수 없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