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이달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응찰자 수는 6.1명으로 지난달 4.9명 대비해 1.2명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7월의 평균응찰자 수가8.6명을 기록한 이래 8월 8.0명, 9월 6.7명, 10월 4.9명으로 계속 감소하던 수치가 11월 들어 반등한 것이다.
감정가 5억 원에서 2회 유찰돼 지난 23일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입찰에 부쳐진 양천구 신천동 목동삼성아파트 104동 202호(전용면적 85㎡)에는 응찰자 21명이 몰려 감정가의 87.8%인 4억 3890만 원에 낙찰됐다.
![]() |
자료=지지옥션 |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서울에 국한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역 아파트의 평균응찰자 수는 연속 4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호재가 많은 인천도 등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11월은 10월보다 평균응찰자 수가 낮게 집계됐다.
서울지역의 평균응찰자 수는 이달 들어 상승했지만 아직 매각률과 매각가율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다. 먼저 응찰자가 몰리고 가격이 뒤이어 상승하는 경매 시장의 특징을 고려할 때 향후 위축됐던 낙찰가격도 상승할 수 있을 것인지는 지켜볼 일이다.
서울지역 11월 아파트 매각률(진행건수 대비 매각건수의 비율)은 35.7%로 지난달보다 하락폭이 크다. 지난달의 42.7%보다 7% 감소했다. 35.7%라는 매각률의 수치는 진행된 10건 중 낙찰된 물건이 채 4건에도 못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매각가율도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9월 90.7%, 10월 87%, 11월 86.2%로 점점 낮아지고 있다.
![]() |
자료=지지옥션 |
지지옥션 강은 팀장은 “최근 2~3회 유찰된 저렴한 아파트가 등장하자 투자자들의 시선을 끌면서 다시 경매시장에 사람들이 몰리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일부 싼 매물에 대한 쏠림현상이 두드러진 것일 뿐 전반적인 회복세라고 보긴 이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