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4일 "서민들도 내년 하반기쯤 되면 (경기회복 기운을) 체감하지 않겠나 본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동작구 대방동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열린 보건복지부, 노동부, 여성부, 보훈처의 서민.고용 분야 내년도 업무보고에서 "기업하는 사람들은 위기 이전 정도로 현재 체감을 하는 것 같다"면서 "그러나 서민들은 아직 체감을 못한다"고 말했다고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금년 연초에 재정지출을 하기 시작해 다소 서민들에게 도움을 줬다"면서도 "우리 사회가 서민들이 살기에는 참 힘들고 아직도 서민들에겐 언제쯤 나아질지 (정부도) 답변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오늘 보건복지부 등 서민관련 4개 부처로부터 가장 먼저 새해 업무보고를 받는 것은 서민을 위한 배려와 젊은이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올해 경제가 회복됐다고 해서 (정부가) 긴장을 풀고 서민을 소홀하게 하지 않을까 걱정 된다"며 "새해 업무보고를 앞당겨 연내에 마치고 1월1일부터 업무를 시작해 재정지출을 시작함으로써 다소나마 서민에게 도움을 주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일자리 창출과 약자배려, 사회안전망 구축은 정부의 노력만으로 해낼 수 없고 민간의 참여가 절실하다"고 민간기업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과거에 비해 우리의 국격이 많이 높아졌다. 특히 선진국으로부터 많은 존중을 받고 있다"며 "이에 걸맞게 약자에 대한 배려, 아동 보호 등에서 격이 올라가야 한다. 외국에 대한 선진 원조국이 되면서도 우리 내부에 대한 배려가 없다면 균형이 맞다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날 끝으로 이 대통령은 "내년에는 모든 분야의 격을 높여 선진일류국가의 원년이 될 수 있도록 하자"면서 "오늘 토론과제는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액션플랜을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민·고용 분야 업무보고를 받은 데 이어 16일 경제·금융·기업활동, 21일 교육·과학·문화, 22일 산업·중소기업, 23일 법·질서, 28일 외교·안보, 30일 사회간접자본(SOC) 및 지역경제 등 총 7개 분야에 걸쳐 각 부처로부터 업무보고를 청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