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현대車, 15년 만에 무분규 임단협 완전 타결

현대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단체협상안을 무파업으로 완전 타결했다.

현대차 노조는 23일부터 24일 새벽까지 전체조합원 4만5천146명을 대상으로 임금동결안을 골자로 하는 올해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받아들일지 묻는 찬반투표를 진행했다. 그 결과 투표자 4만2천146명(투표율 93.59%) 가운데 2만6천290명(62.21%)의 찬성으로 잠정협의안이 가결됐다.

이에 따라 현대차 노사는 지난 1994년 이후 15년 만에 처음으로 파업 없는 한 해를 보내게 됐다. 또 지난 2007년 임단협을 하면서 무파업 타결한 후 3년 만에 다시 임단협 무파업 타결을 하게 됐다. 또한 대규모 정리해고가 있었던 1998년을 제외하고 1987년 노조 설립 이후 22년 만에 첫 기본급 동결이 이뤄졌다.

이 처럼 잠정합의안이 가결된 것은 노사를 비롯한 조합원이 입단협 연내 타결에 큰 기대를 걸었고, 15년 만에 들어선 합리 노선의 새 집행부가 마련한 임단협안이 조합원들의 권익과 실리를 충분히 챙겼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실제로 이번 현대차 잠정합의안은 현대중공업의 임단협 타결 수준을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21일 현대차 노사는 제21차 임단협을 갖고 ▲기본급 동결 ▲성과급 300% ▲일시금 500만원 ▲무상주 40주 지급 등을 골자로 한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아울러 노사는 또 ▲고용보장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한 확약서 체결 ▲사회공헌을 위한 노사공동사업 ▲3자녀 대학 학자금 지급 등 장학제도 및 건강진단 확대 ▲해외현지공장과 신기술 도입 분야 등 20여개 단협안도 마련했다.

성과급은 300%는 평균 600만원에 해당되며, 현대차 주가를 감안하면 근로자 1인당 1천500만~1천600만원씩 받게 된다. 아울러 사측은 사상 첫 기본급 동결이라는 명분을 얻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대차 노조 장규호 노조 대변인은 "조합원의 의견을 수용해 미흡한 부문은 보완할 것"이라며 "분열이 아닌 단결로 신뢰받고 사랑받는 노조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백승권 현대차 홍보팀장은 "원만하게 타결돼 매우 기쁘다"며 "노사 간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국민으로부터 더욱 사랑받을 수 있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 노사는 28일 강호돈 부사장과 이경훈 현대차지부장 등 노사교섭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2009년 임단협 타결 조인식을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