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중기, "내년 경기 개선 전망"

내년 중소제조업체의 경기가 올해보다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금리가 오르면 경영여건이 올해보다 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소 제조업체의 85%가 자금유동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내년에 출구전략으로 금리가 오르면 경영 애로가 가중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25일 기업은행 산하 기은경제연구소가 전국 중소기업 307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내년 중소제조업의 경기실사지수(BSI)가 중립인 100을 훨씬 넘어선 115로,올해 76보다 39포인트나 상승했다.


경기실사지수가 100을 넘으면 경기가 나아질 것이라는 업체가 나빠질 것이라는 업체보다 많다는 뜻으로 이번 조사에서는 115로 집계됐다.
산업별로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의 BSI가 130,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가 127로 내년 경기에 대한 기대치가 높았고 반면 기타운송장비는 80, 음료제조업은 99를 기록해 기대치가 낮았다.


올해 경영상황 BSI는 70으로 체감경기가 현저히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가공조립이 63, 기초소재가 76, 생활관련 제조업이 67을 기록했다. 내년 경영상황 BSI는 114로 조사됐다.

올해 하반기 자금유동성 상황 조사결과 어려움이 없는 업체의 비율은 14.4%에불과했다.


또 내년 출구전략에 따른 금리상승과 유동성 축소에도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답한 업체의 비율은 8.4%에 그쳐 중소제조업체들의 취약점은 내년에도 금리와 자금사정이 될 전망이다.


녹색성장관련 제조업은 금리상승에 대해 다소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이 50.7%를 차지해 금리상승에 대해 가장 우려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내년 경영에 영향을 미칠 애로사항으로는 원자재가격 상승(59.6%)과 금리상승(38.0%), 자금유동성(36.1%) 등을 꼽혔다.
내년에 설비투자를 예정한 업체의 비율은 27.5%로 올해의 30.5%보다 3%포인트 하락했다.


이민재 기은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중소제조업체의 향후 경기에 대한 전망이 세계적인 금융위기 여파로 경기 저점이던 작년 말보다 개선됐다”며 “하지만 내년 출구전략에 따른 유동성 축소와 금리상승 시, 중소제조업이 다소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