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올해 실업 청년의 일자리를 확대하고 취약한 사회서비스를 개발, 확충하기 위해 실시한 ‘2009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지원사업’을 통해 270여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동안 7개 대학에 26억7천 만원(국비 18억7천 만원, 시비 8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추진한 지원사업을 통해 취약계층 3100여명이 혜택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사업단 지원사업’은 지난 5월 보건복지가족부가 사업을 공모해 광주지역에서는 10개 대학에서 30개 사업이 신청, 광주대와 호남대 등 7개 대학의 ‘어르신 건강증진’, ‘아동 방문지도’ 등 저소득층을 위한 13개 사업이 선정됐다.
선정대학은 광주대 3개 사업, 호남대 3개, 송원대 2개, 동강대 2개, 광주여대·광주보건대·서강정보대 각 1개 사업이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지방대학 졸업자 중 미취업자 20~30대 청년을 대상으로 사회복지학과, 유아교육학과 등 관련학과 졸업자 270여명이 서비스 제공 인력으로 참여해 일자리를 얻었다. 이들에게는 4대 보험과 서비스 제공 시간에 따라 매월 80만~90여만원의 급여가 지급됐다.
특히, 전체 참여자 270여 명중 20~30대 청년층이 90% 이상으로 청년에게 단순히 일자리를 제공하는 차원을 넘어,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자신의 전공과 연계된 경력을 쌓고 향후 사회서비스업 취업을 촉진하는 등 청년실업 해결을 위한 돌파구로서 사회서비스사업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청년사업단 지원사업의 서비스를 받은 3100여명은 전국가구평균소득 100%이하 취약계층 가구로 어르신건강증진, 장애인 및 아동 학습지도 등 각 대학의 선정 사업별로 프로그램에 따라 대학의 전문지식과 시설 등 기존 자원을 활용해 저렴한 비용으로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호응을 얻었다.
시는 지난 6개월간 추진 성과를 바탕으로 우수한 청년사업단에 대해서는 지역사회서비스사업과 연계해 2010년부터는 전자바우처사업으로 전환,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