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IT수출과 수입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IT수지는 사상 두 번째로 많은 흑자를 기록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해 IT무역수지 흑자가 589억7천만달러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2007년 603억7천만달러의 흑자를 달성한데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지난해보다 13억3천만달러 늘어난 수치다.
IT수출은 전년대비 7.8% 감소한 1천209억7천만달러로, IT수입은 전년대비 15.7% 줄어든 620억달러로 집계됐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은 IT수출 회복을 견인하며 세계 시장 점유율 48%(3분기 기준)로 확고한 시장 지배력을 확보한 것으로 지경부는 평가했다.
또한 반도체는 기술 우위와 수요회복에 따른 영향으로 휴대전화를 제치고 2007년에 이어 IT수출 1위 품목을 유지했다. D램의 세계시장점유율은 56.9%로 전년동기 대비 8.1% 증가했으며, 낸드플래시도 47.7%로 점유율이 확대됐다.
휴대전화는 해외 생산 비중이 늘어나 14.2% 감소한 286억8천만달러의 수출을 기록했으나, 사상 처음으로 세계시장 점유율을 30%대로 늘렸다. 컬러 TV는 501억5천만달러의 수출로 전년대비 10.5% 감소했다.
상반기 IT수출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선진·신흥시장의 소비 침체로 인해 전년동기 대비 23.0% 감소했다. 반면, 하반기에는 패널 및 반도체 수출 회복과 중국, 미국 등 주요 IT 교역국의 경기부양 효과에 힘입어 8.8% 증가한 683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경부는 특히 지난해 12월 IT수출이 전년동월 대비 73.4% 증가한 112억9000만 달러, 수입이 전년동월 대비 34.6% 증가한 56억8000만 달러를 기록함에 따라 본격적인 회복세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했다.
국가별로는 미국(159억7000만 달러, △5.8%), EU(170억4000만 달러, △21.9%), 일본(66억2000만 달러, △17.0%) 등 선진시장의 경기침체 여파로 인해 수출이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반면, 중국(홍콩포함, 501억5000만 달러, 2.7%), 중동(30억2000만 달러, 1.6%), 인도네시아(8억8000만 달러, 5.5%)등 신흥시장으로의 수출은 소폭 증가했다. 특히 2004년 이후 우리나라의 IT수출 1위 국가인 중국(홍콩 포함)은 꾸준한 수출 증가로 2008년 37.2%에서 41.5%로 비중이 크게 확대됐다.
지경부는 올해 IT수출이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의 경기 회복으로 인해 전반적인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