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가계 대출금리, 중기대출 웃돌아

지난해 가계 대출금리가 중소기업 대출금리보다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중기 지원을 위해 낮은 금리를 매긴 반면, 가계에는 수익을 확보하고자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적용했기 때문이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신규취급액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금리는 지난해에 연 5.73%로 전년의 7.19%보다 1.46%포인트 하락했다.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7.31%에서 5.65%로 1.66%포인트 떨어져 더 큰 폭으로 하락했다.

가계대출은 주택을 담보로 잡는 경우가 많고 부도위험이 크지 않아 중기 대출보다 금리가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중기, 가계 대출금리에 역전이 일어났다.

중기 대출금리에서 가계 대출금리를 뺀 차이는 -0.08%포인트로 2003년 -0.29%포인트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중기-가계 대출금리는 ▲2004년 0.09% 포인트 ▲2005년 0.27%포인트 ▲2006년 0.40%포인트 ▲2007년 0.24%포인트 ▲2008년 0.12%포인트 등으로 플러스를 유지해왔다.

이번에 중기 대출금리가 가계 대출금리보다 낮았던 것은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고자 은행들이 중소기업에 대해 정책적으로 낮은 금리를 적용한 반면, 수익을 확보하고자 가계에 높은 금리를 매겼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중소기업과 대기업 금리 차이도 2001년 이후 최저치로 줄었다. 지난해 중기-대기업 금리차이는 0.04%포인트로 전년의 0.52%포인트보다 축소됐다. 연도별로 보자면 이 차이는 ▲2005년 0.56%포인트 ▲2006년 0.64%포인트 ▲2007년 0.63%포인트 ▲2008년 0.52%포인트 등이었다.

한편, 한은은 종전 5.25%였던 기준금리를 2008년 10월부터 매달 내려 작년 2월에는 2.00%까지 낮췄고, 그 이후 기준금리를 계속 동결했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대출·예금금리와 시장금리가 하락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