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은행·저축은행 금리차 2년 만에 최소

저축은행에 가야 고금리를 누릴 수 있다는 것도 이젠 옛말이 됐다. 은행과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금리차가 2년 만에 최소로 좁혀졌기 때문이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예금은행과 상호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금리 차이(신규취급액 기준)는 0.66%포인트로 11월의 1.33%포인트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2008년 1월의 0.57%포인트 이후 최소 수준이다.

예금은행과 저축은행의 금리차는 지난해 1월 2.75%포인트까지 벌어진 후, 3월 1.83%포인트, 8월 1.74%포인트, 10월 1.39%포인트 등으로 꾸준히 줄어들은 바 있다.

예금은행과 저축은행 간의 금리차가 줄어든 것은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빠른 속도로 올랐기 때문이다. 감독당국이 예대율을 낮추라고 주문하면서 은행들이 예금조달을 늘린 것이 주원인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예금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만기가 1년 이상 2년 미만인 상품이 전월에 비해 0.77%포인트 오른 4.53%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금리 상승폭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월의 3.77%포인트 이후 가장 큰 수치다. 반면,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0.1%포인트 상승하는 데 머물렀다.

아울러 저축은행 1년짜리 정기예금과 예금은행 6개월~1년짜리 정기예금의 금리차도 1.43%포인트를 기록, 지난해 10월의 1.38%포인트를 제외하면 14개월 만에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당국의 규제와 만기가 돌아온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일시적 현상이라는 반응이다. 올해부터 적용된 예대율 규제로 예금은행들이 예금을 늘리기 위해 특판 상품을 내놨고 1년 전 예금에 가입했다가 만기가 돌아온 예금고객을 붙잡으려 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예금은행 예금금리가 다소 낮아지면서 저축은행과 예금은행의 금리차는 1%포인트대로 높아질 것으로 관계자들은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