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학 한국조폐공사 사장은 10만원권 발행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전 사장은 22일 과천종합청사에서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5만원권이 발행되면서 경영상 어려움이 있었냐는 질문에 "10만원권이 발행되지 않아서 다행"이라고 답했다.
그는 "10만원권이 나왔다면 은행권이 70% 줄어들고, 조폐공사 인원의 70%를 구조조정할 뻔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전 사장은 "5만원권 발행으로 은행권 발행이 절반으로 줄었지만 구조조정을 많이 안한 이유는 5만원권에 22가지 위변조 방지활동이 들어가고 요판인쇄 등 때문에 기술인력 유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조폐공사 인력은 현제 1400명 정도다.
전 사장은 이어 "10만원권을 만들면 화폐에 '0'자가 너무 많이 들어간다"며 "한국의 경제규모나 위상으로 볼 때 10만원권 발행 대신 리디노미네이션(화폐가치 변경)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전 사장은 금화 발행 검토를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1998년 외환위기 때 국민이 금 모으기 운동으로 단합해 20억달러 외화를 차입하는 효과를 본 적이 있다"며 "호황 때 금화를 발행했다가 위기 때 금화가 시장에 나오면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결정권한을 가진 한은이 인플레이션 우려로 부정적인 입장이라고 전하며 "금화는 소장 수요가 있고 위기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차원의 희망사항을 말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전 사장은 5만원권과 5000원권 구분이 잘 안 된다는 지적과 관련, "미국은 화폐 색깔이나 모양이 같은데도 그런 얘기는 안 나온다"며 "우리는 화폐 크기도 다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