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원 이하 전세 수원시, 남양주시, 노원구에 몰려
최근 1년간 전세가 급등으로 수도권 1억 이하 전세아파트가 10만가구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의 자료에 따르면 12일 현재 수도권 1억원 이하 전세아파트 가구 수는 총 109만 199가구로 작년 13일 기준 119만 436가구 보다 10만 237가구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시·도별> 경기도가 70만 6932가구에서 65만 9701가구로 4만 7231가구가 줄었으며, 서울은 15만 466가구에서 12만 7208가구로 2만 3258가구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료=닥터아파트
<신도시> 7만 6248가구에서 5만 5211가구로 2만 1037가구가 줄어들었으며, 전체적으로 전세아파트 가격이 저렴한 편에 속하는 인천광역시가 25만 6790가구에서 24만 8079가구로 8711가구 감소해 가장 적은 감소폭을 보였다.
<시·구별> 1억원 이하 전세아파트가 가장 많이 줄어든 지역은 경기도 수원시였다. 수원시는 작년 8만 1241가구에서 6만 6838가구로 1만 4403가구가 줄어들었다. 수원시 외에 용인시, 산본 신도시도 작년에 비해 각각 1만 2884가구, 신본은 1만 2016가구가 각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 |
자료=닥터아파트 |
다음으로 남양주시가 6만 6614가구, 시흥시가 6만 891가구 등으로 1억원 이하 전세아파트가 많았으며, 이 3개 시에 몰려 있는 1억 이하 전세아파트 수는 경기도 전체 1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 수의 29.5%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는 노원구에 가장 많은 1억원 이하 아파트가 몰려 있었다. 노원구는 지난 1년 동안 8553가구가 줄었지만 여전히 4만 603가구가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봉구가 1만 5815가구, 강동구가 1만 1850가구 순이었다. 강동구의 경우에는 나 홀로 아파트로 인해 저렴한 전세아파트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1억원 이하 전세아파트 가구 수가 오히려 늘어난 곳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광명시는 작년 말부터 시작된 대규모 입주아파트 영향으로 하안동 일대 전세가격이 하락하며 1억원 이하 전세아파트 가구 수가 1만 6584가구에서 1만 9091가구로 2507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이유에 대해 닥터아파트 이영진 연구소장은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주택 구매수요는 줄고 전세수요는 증가한데다 보금자리주택 청약을 위해 전세를 유지하는 수요가 가세하면서 전세가 상승이 이루어졌고, 재개발·재건축 등의 정비사업으로 인해 저렴한 전세아파트가 사라진 점도 원인으로 지적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