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부, "환율 급등락시 안정조치 시행할 터"

정부는 국제금융시장 불안요인으로 당분간 환율 변동성이 큰 만큼 쏠림에 의한 환율 급등락시 안정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에 이같은 내용의 '주요 현안업무 보고'를 제출했다.

정부는 최근 환율하락 원인과 관련 대규모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의 유입, 중국 위안화 절상 가능성 등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달러-원 환율은 지난해 말 1164.5원으로 마감한 후 최근 하락세가 지속돼 1110원대로 낮아졌다.

재정부는 "올들어 1~3월중 외국인 주식(6조2000억 원), 채권(5조3000억 원) 순매수 등 외국인 자본유입이 급속히 증가했다"며 "최근 위안화 절상 기대로 중국과 함께 신흥시장 범주에 포함되는 원화에 대한 동반 절상심리가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근 미국의 위안화 절상 압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민간연구기관들은 위안화가 절상될 경우 원화도 동반 절상될 가능성도 크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며 이는 환차익을 노린 외자유입 촉진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재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이에따라 경제 펀더멘털 및 시장수급이 반영된 시장에서의 움직임을 최대한 존중하되 쏠림에 의한 환율 급등락에는 안정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국제금융시장 불안요인으로 당분간 환율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시장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총외채는 2008년 9월말(4261억 달러)을 정점으로 2008년말(3779억 달러)까지 감소했으나 2009년중 다소 증가해 2009년 말 4019억 달러 수준이다.

단기외채는 2008년 4분기중 397억 달러 감소한 후 현재 1500억 달러 내외에서 큰 변동없이 유지하고 있다.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비중은 2008년 9월말 44.5%에서 지난해 12월 말 현재 37.3%로 낮아졌다.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비율도 같은기간 79.1%에서 55.5%로 하락하는 등 외채건전성 지표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재정부는 관계자는 "외채구조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추진할 것"이라며 "중장기 재원조달비율 강화, 외화유동성 비율 규제 정비 등 외환건전성 감독을 강화해 과도한 단기차입을 억제하고 장기차입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