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비재시장에서 수입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10년 사이에 2배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입소비재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7%를 넘어섰다.
1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소비재 실질 수입액은 지난해 36조4500억원으로 이는 지난해 실질 민간 소비액 520조600억원의 7.01%에 해당하는 액수다. 소비재 실질 수입액 비중은 1999년 3.28%였으며 2003년 4.53%, 2008년 5.44%로 높아졌다. 10년만에 두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소비재 실질 수입액은 달러화 기준 소비재 수입액에 수입물가지수와 연평균 원ㆍ달러 환율을 적용한 것으로, 민간 소비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곧 수입소비재에 대한 민간 소비의 의존도를 말한다.
수입품의 비중이 늘어나자 원·달러 환율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고 있다.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로 환산한 제품 가격이 낮아져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세지고, 같은 물건을 사도 실제 내는 돈은 줄어든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환율이 10% 하락하면 물가 상승률을 0.5%포인트 낮추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달러화를 기준으로 한 수입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지난해 11월 10.4%로 오름세로 전환했으며, 12월 16.1%, 지난 1월 17.1%, 2월 18.4%, 3월 23.0%로 상승폭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원화가 달러에 비해 강세를 보이면서 원화기준 수입물가 상승률은 환율의 상쇄효과가 작용, 지난해 4월 -1.8%를 기록한 이후 지난 3월에는 -4.3%를 기록하는 등 12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즉 이 같은 환율 하락은 물가하락으로 이어지며 소비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효과가 있다. 기업의 경우 환율 하락으로 이익이 줄어들 수 있지만 전체 자본재에서 수입 자본재 비중이 커지고 있는 추세라 설비투자비용을 더는 이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