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뮤지컬로 재탄생한 '서편제' 과연 어떤 맛일까?

1993년 개봉됐던 영화 ‘서편제’가 18년 만에 대작 뮤지컬로 재탄생한다. 故 이청준(1939~2008) 작가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한 임권택(74) 감독의 영화 ‘서편제’는 개봉 당시 대종상, 백상예술대상 등 주요 영화제 작품상을 수상하며 국내 최초로 백만 관객을 동원한 명작이다.

▲ 극본 및 작가 조광화
▲ 극본 및 작가 조광화
이번 뮤지컬 '서편제'에서 극본과 작사를 맡은 조광화 작가는 27일 "우리의 정체성을 잃고 방황하며 다시 그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조씨는 뮤지컬 '내 마음의 풍금', '남한산성' 등을 연출한 작가다.

조 작가는 "'서편제'를 뮤지컬로 옮긴다고 하니 주변에서 우려 섞인 목소리가 많았다. 어떻게 우리 고유의 판소리를 서양 뮤지컬로 다듬을 수 있느냐는 의문이었다"며 "그러한 부담감도 컸지만 '서편제'가 창작뮤지컬인 만큼 큰 도전이었고 새 방향성을 제시하는 단추가 되지 않을까라는 선구자적인 마음으로 임하고 있다"고 뿌듯함을 드러냈다.

뮤지컬 '서편제'는 국악으로 대변되는 가부장적인 아버지와 그 음악에 반항하고 현대음악을 찾아가는 아들의 갈등과 함께 러브스토리도 펼쳐진다.

특히 뮤지컬의 기본이 되는 음악은 '서편제' 가락의 현대적 편곡은 물론 클래식, 록, 팝, 발라드 등 대중음악과의 조화를 통해 극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

조 작가는 "'서편제'는 판소리를 고집하는 아버지와 그에 답답함을 느끼고 반항하고 새로운 것을 찾아나가는 아들의 이야기다. 지금 문화적으로 그런 시기에 와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 우리 아버지 세대가 문화적 가치관을 잃어가고 있는 모습이 묻어날 것이다"며 "판소리와 새 음악의 배틀도 아니고 어떤 방향을 제시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그 정체성을 잃고 찾아가는 방랑의 과정을 그렸을 뿐이다"고 덧붙였다. 또 "극은 다큐 형식으로 구성해, 보는 관점에 따라 사람이나 사건이 다양하게 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 연출 이지나
▲ 연출 이지나
뮤지컬 '대장금', '헤드윅', '그리스' 등을 감독한 이지나 연출은 "쇼뮤지컬이 대세이고 수익을 강조하는 현 상황에 '서편제'를 뮤지컬로 만든다고 하니 미쳤다는 소리까지 들었다"며 "이는 우리 정체성을 찾아가는 이야기로 예술인으로서 꼭 해야 하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우리가 어찌보면 앞서가는 것일 수도 있다. 결과가 어떻든 절대 후회는 없으며 이번 작품을 만드는데 힘을 실어준 모든 분들께 감사하다"고 말했다.

뮤지컬 '레인맨' 등을 제작한 송한샘이 제작감독을, '보고 싶다', '애인 있어요' 등을 작곡한 윤일상과 뮤지컬 '미스사이공', '명성황후' 등의 음악담당 김문정이 음악감독을, 판소리 포크록 그룹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자람이 작창 및 국악 감독을 맡았다.

공연제작사 피앤피컴퍼니와 청심이 함께 만드는 뮤지컬 '서편제'는 오는 8월 14일부터 11얼 7일까지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서 공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