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등포역 인근 집창촌, 쪽방촌이 업무․문화․주거기능을 복합화한 부도심으로 탈바꿈한다. 또 대림역, 충정로역, 사당역, 봉천역 일대가 역세권시프트로, 문래동, 신도림동, 가산동 등 낙후된 준공업 지역이 첨단산업과 주거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꾸며진다.
서울시는 주로 도심에서 시행하던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일부 부도심과 역세권 및 준공업지역 등 지역 생활권까지 확대하여 자치구와 함께 공공지원으로 개발한다고 27일 밝혔다.
영등포역 인근 집창촌, 쪽방촌 부도심 지역은 이번 정비계획으로 낙후지역 일대를 집중 정비함으로써 부도심의 위상을 갖출 계획이다. 이 인근은 이번 도시환경정비사업으로 부도심 기능 회복을 위한 상업, 문화, 공공기능의 복합화를 추진한다.
대림역, 사당역 부근에는 고밀복합화를 통한 역세권시프트 공급할 예정이다. 역세권시프트(장기전세주택)의 공급확대를 위해 대림역, 충정로역, 사당역, 봉천역 일대의 역세권 고밀복합화가 추진될 예정이다.
역세권 범위는 반경 250m를 원칙으로 하되, 부지의 일부분이 250m를 넘는 경우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반경 500m까지 사업이 가능하도록 해 역세권 고밀복합화를 통한 주택공급(장기전세주택)의 확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역세권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해 대상 기준 범위에서 20년이상 건축물의 전체 50%이상의 노후도 지역만을 선정했다.
마땅한 개발방안이 없어 방치됐던 준공업 지역인 영등포구 문래동, 구로구 신도림동, 금천구 가산동 4개 지역을 첨단산업과 주거가 공존하는 방향으로 정비할 예정이다.
준공업 지역의 경우 오랫동안 유지되던 수도권 규제강화로 주거환경 및 산업 여건이 매우 열악한 것이 현실이었다.
이번 도시환경정비로 전시장, 연구소, 일반 업무시설, 공장, 아파트형공장 등 산업용도와 주거용도를 허용하게 되었다. 노후 준공업 지역의 합리적 정비가 가능할 뿐 아니라, 첨단산업과 주거가 공존할 수 있는 지역으로 공공정비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되었다.
서울시는 "이번 정비계획 지원을 통해 지역생활권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며, 연차적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