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특허청은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가 지난 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부상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 세계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기관인 유비산업리서치가 발간한 '2010 OLED 연간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OLED 업체들은 2009년 5억 336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하여 세계시장의 71.3%로 1위를 하였으며, 매출은 전년 2억 5338만 달러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났으며 점유율은 전년 52.2%보다 20% 성장했다. 일본은 13.6%로 2위, 대만은 12.6%로 3위에 그쳤다.
OLED는 기존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백라이트가 필요 없고 고화질, 슬림화, 저 전력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동작속도가 빨라 '꿈의 디스플레이'로 주목받아 왔다.
OLED는 수동형(PM:Passive Matrix) OLED와 능동형(AM:Active Matrix) OLED로 구분되는데, 최근 AM OLED 기술을 사용한 휴대폰(AMOLED 아몰레드), 스마트폰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면서 OLED 기술은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한 기술이 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OLED 관련 특허출원은 1992~1996년도에 10건 수준이었으나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2008년까지 총 1822건이 출원되어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
특허청 관계자에 따르면 "OLED 기술은 기존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응답속도가 1000배 이상 빨라 3D 화면 구현 시 어지럼증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며, 또한 유기물을 사용하는 OLED를 적용하면 종이처럼 말아 간편하게 휴대 가능한 플렉서블(휘는) 디스플레이 등 미래 적용분야가 다양하며, LCD에 비해 유해물질을 덜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AM OLED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일고 있는 녹색성장과도 그 궤를 같이 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 된다"고 말했다.
또한 특허청이 2009년 발간한 'OLED 분야 특허 길라잡이' 책자를 통해 OLED 분야 지재권 포트폴리오와 이를 구현할 전략을 제시하고 있어, 지식재산권 창출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