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통화위원회는 10일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2.0%의 현행 기준금리를 운용키로 했다.
금통위는 "국내경기의 상승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나 해외 위험요인 등에 비춰 향후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은 상존하고 있다고 판단"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대외경제 불안으로 어쩔 수 없이 금리는 동결됐으나, 한은의 물가 상승 우려에 대한 시름은 깊어졌다.
◆ '유럽발 위협' 언제까지 발목잡나?
이번에도 금통위의 금리동결의 최대 변수는 '유럽발 위기'였다.
최근 금융시장은 일부 유럽국가의 재정문제와 천안함 새태 등 대외적 불안요소로 인해 주가와 환율이 큰 폭을 변동을 보이고 있다.
이달 초 헝가리의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26포인트 이상 급락하고 원-달러 환율이 34원 이상 폭등하는 등 국내 금융시장이 다시금 유럽발 위기로 요동쳤다.
이에 따라 한은은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금융시장이 해외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큰 만큼 해외경제여건의 변화방향과 국내금융시장에 미칠 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김 총재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유럽발 재정위기와 관련 "그리스 자체가 우리나라에 위협이 되는 것이 아니라 유로시스템으로 인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이 문제인 것"이라며 "헝가리가 그리스 보다는 조금 더 제한적 영향을 미칠 것이나 소홀히 생각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물가 상승 압력 아직은 '괜찮다?'.
한은은 국내 경기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는 이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지표만 봐도 1분기 경제성장률이 작년 동기 대비 8.1%를 기록했으며, 물가도 3월 2.3%에서 4월 2.6%, 5월 2.7%로 높아진 가운데 5월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16개월 만에 최고치인 4.6%를 기록해 하반기 물가상승은 시간문제인 상황이다.
특히 하반기에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이 예정돼 있는 상황이어서 한국은행의 제1목표인 물가안정이 위협받을 수도 있다.
이와 관련 김 총재는 "석유류를 중심으로 물가 오름세를 예의주시하고 있고 공공요금도 인상될 것으로 보여, 국내 물가 오름세가 가시화되면 기준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 금리인상의 '타이밍'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한은은 통화정책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