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사는 A씨는 여름휴가를 맞아 벼러 왔던 SUV차량을 구매할 계획이다. 아이들이 커 감에 따라 가족과 함께 할 시간을 많이 보내기에는 SUV가 제격이란 생각에서다. 2WD와 4WD중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지 고민중이다.
실용성과 연비를 생각한다면 2WD가 좋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2WD는 2개의 바퀴를 중심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일반승용차는 주로 앞 바퀴인 전륜구동(FF)방식을, 수입세단은 후륜구동(FF)방식을 사용한다. 국산 SUV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륜 2WD는 엔진과 구동 측이 차량 앞부분에 있어 실내 공간이 넓다는 장점이 있다. 새차를 살 때에도 4WD보다 200~300만원 정도 저렴하고, 차량 무게가 가벼워 연비도 좋다. 국산SUV는 2WD가 늘어나는 추세다. 승용차에서 사용되는 2WD방식 SUV가 늘어난 까닭은 험난한 오프로드보다 도심을 달리는 시간이 많고, 연비등의 실용성을 중시하는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반면 전륜구동 4WD는 가격과 연비 면에서는 뒤쳐지지만 방향조정에 있어 안전성이 제공되고, 험한 도로는 물론 도심 속이라도 눈길에서는 특히 강하다. 울퉁불퉁한 도로를 달리거나 레저용으로 SUV를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안성마춤이다. 하지만 중고차로 되팔 경우까지 고려한다면 4WD가 불리하다. 신차 구입 시 200~300만 차이가 1~2년이 지난후 거래를 할 경우네는 중고차 시세가 100만원 안팍으로 좁혀지기 때문이다. 2007년식 싼타페 2WD CLX의 신차가격은 2,503만원 동급의 4WD는 2,783만원으로 280만원 차이였다. 하지만 중고차 정보 사이트 카즈(http://www.carz.co.kr)에서 거래되고 있는 중고 싼타페 시세를 살펴보면, 2WD 중고차는 1,700만원선에, 4WD는 1,850만원 전후에 분포되어 있다. 동일한 연식이지만 가격 차이가 신차가격의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 중고차 전문가는 "SUV가 레져용에서 생활형으로 점차 자리잡으면서 묵직한 4WD보다는 2WD의 실용성이 더욱 주목되기에, 수요가 줄어든 만큼 가격 인하를 피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쌍용차를 선두로 주행 중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2WD와 4WD전환이 가능한 파트타임 4WD, 노면의 상황에 따라 동력을 배분하는 스마트4WD시스템 등 신개념 4WD를 선보이고 있어서 A씨의 고민은 커저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