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10일 항공기와 자동차 등의 핵심 소재로 부상하고 있는 탄소소재를 구축화하는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본격화한다.
이번 '탄소밸리 구축사업'은 탄소섬유, 흑연, 탄소복합재 등 탄소소재의 국산화 및 자동차, 풍력발전기 등에 사용되는 핵심부품 등 응용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조사 결과 탄소소재는 아직 선진국과 기술격차가 있으나. 낮은 경제성,노하우 부족,선진국 견제 등의 과거 실패요인들이 개선이 될 경우 시장진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경부는 신규 예산 확보를 통해 내년부터 기술개발과 테스트 베드 형 기반 구축 사업이 동시에 추진 되도록 진행할 방침으로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액이 각각 3조 2000억원, 1조 5000억 원, 고용효과는 2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같이 높은 경제효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생산기반을 갖추지 못해, 2008년 약 16만톤(6821억원 규모)의 탄소소재를 수입했고, 수입의 50%이상은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
우태희 지경부 주력산업국장은 "탄소소재가 알루미늄의 4분의 1수준으로 가볍고 강도는 철의 10배 이상 된다"며 "우리나라 17대 신성장 동력 추진에 있어서 활용도가 크게 늘어나는 상화이며 탄소소재의 조기 국산화 및 산업화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