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업종전망]대이란 제재, 건설업종 타격 크다

정부가 '대이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해외건설 활동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9일부터 이란의 석유자원개발능력 향상 및 정유 제품 생산 확대와 관련된 수주가 전면 금지됐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 수주 및 매출 불확실성이 건설업종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철수로 중국의 대이란 에너지 시장 영향력이 확대되고, 이번 계기로 중국 업체들이 경험을 축적하면서 세계 건설 시장에서 경쟁자로 부상할 전망이다. 실질적인 단기 수주 및 매출 감소와 중국업체와의 경쟁시기 단축, 모멘텀을 찾기 힘든 국내 부동산 시장을 감안하면 당분간 건설업종의 주가는 상승 탄력을 받기 어려워 보인다.

◆하반기 해외수주 및 수익성 감소될 듯
정부가 '대이란 유엔 안보리 결의(1929호)'에 대한 해외건설 활동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9일부터 이란에서의 수주가 전면 중단됐다. 이에 따라 이후 이란의 석유자원 개발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투자행위와 이란 국내의 정유제품 생산을 확대 유지하는 재화 및 용역 등의 제공행위가 금지된다. 당분간 이란에서 석유/가스 및 정유 시설관련 공사 수주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다만 7월 1일 이전에 계약체결이 완료된 공사 혹은 그 이행을 위한 공사 활동은 허용되지만, 대금 회수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정상적인 진행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이란 제재는 건설업체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미 GS건설은 지난해 수주한 1.4조원 규모의 개발사업을 취소했고, 대림산업 역시 현재 수행하고 있는 1조원 규모의 공사의 중단 혹은 대금회수 지연 가능성이 높아졌다. 중기적으로도 이란 플랜트 시장의 위축으로 인해 수주 지역 다각화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철수로 이란 에너지 시장에서의 중국의 영향력 확대와 이에 따른 중국 건설업체들의 경쟁력 강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역시 현대건설, 대림산업, GS건설 등이 2000년대 초반 이란 가스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중동 시장에 본격 진출하였음을 감안할 때, 중국의 대이란 에너지 시장 영향력 확대와 이를 통한 중국 업체들의 경험 축적은 중국업체들의 경쟁력 강화의 주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변성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이미 유럽, 중국 업체들과의 거센 경쟁으로 과거와 같은 고마진 시장은 사라지고 있다"며 "특히 세계적인 이란 제재가 중국의 중동시장 영향력 강화 및 경험축적 계기가 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하반기 이후 해외수주 전망 및 수주의 질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