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정상선언문'에 대한 쟁점 사안 중 대부분이 합의에 이르며, 최종조율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차관과 셰르파(교섭대표)는 3일째 회동을 지속하며,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발표할 선언문에 대한 최종 조율 작업에 돌입한다.
아직까지 환율 문제 해법을 위한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의 합의 시한 마련 등을 두고 각국의 이견이 대립하고 있지만, 금융 규제 개혁, 글로벌 금융안전망, 개발 이슈, 국제금융기구 개혁 등 대부분의 사안에서는 거의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날 열린 회의는 난항을 겪으며 새벽까지 회의가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오후 10시 이후 마무리되며 순조로운 분위기를 반영하기도 했다.
사공일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장은 "우리가 생각하는 바대로 70∼80% 정도가 이뤄졌다"라고 만족감을 드러낸 바 있다.
이에 따라 G20 재무차관과 셰르파는 이날 오후 회동에서 '코리아 이니셔티브'의 핵심을 이루는 글로벌 금융안전망과 개발 이슈 문구를 최종 확정하고 금융규제개혁 재확인과 기타의제에 대한 협의를 대부분 마무리할 계획이다.
다만, 글로벌 환율 갈등 해결을 위한 해법으로 제시된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을 두고 몇몇 국가들이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져, 이를 두고 팽팽한 줄다리기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은 경상수지의 과도한 흑자와 적자를 제한하는 것으로, 우리나라는 '경상수지 흑자와 적자 폭을 국내총생산(GDP)의 일정 범위(4%) 내에서 관리한다'는 입장을 제안한 바 있다.
정부는 이에 반발하는 국가들을 설득하기 위해, 기존의 경상수지 가이드라인 중재안에다 원유 생산국과 과다 흑자국의 사정을 반영한 문구를 추가하며, 각국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