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좀비PC 하드디스크 파괴 100건 넘어서

[재경일보 장세규 기자]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에 이용된 좀비PC에 의한 하드디스 파괴가 100건을 넘어서면서, 개인은 물론 기업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7일 오전 9시까지 좀비PC에 의한 하드디스크 파괴가 119건 신고됐다고 밝혔다.

청와대와 네이버 등 주요 사이트를 공격한 디도스가 큰 피해를 입히지 못하자 공격자들이 막무가내 식으로 악성코드에 명령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비록 지난 2009년 7·7 디도스 대란 때 첫날 피해 건수 396건보다는 적은 숫자지만, 방통위는 아직 상황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방통위는 전화 신고된 하드디스크 손상 사례는 현장 방문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파괴된 하드디스크는 데이터복구가 거의 불가능해 손상 건수를 명확히 산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새로 PC를 켤 때는 반드시 안전모드로 시작하라고 거듭 당부했다.

또 일단 PC를 켠 뒤에는 반드시 인터넷 진흥원의 보호나라나 안철수연구소에 들어가 전용백신을 내려받아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통위는 이와함께 이번 3·4 디도스 공격에 가담한 좀비PC의 숫자를 모두 7만7,207대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것은 지난 금요일과 토요일에 걸쳐 3차례 발생한 디도스 공격에 동원됐던 좀비PC의 숫자를 합한 뒤 중복 가담한 좀비PC를 뺀 숫자로, 지난 2009년 7·7 디도스 대란 때 동원된 총 좀비PC 숫자 11만5,000여 대 보다는 적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단일 공격으로 볼 때, 이번 3·4 디도스 공격의 2차 공격때 5만1,000여 대가 동원된 것은 7·7 디도스 대란 때 단일 공격(4만 7,000여 대)보다는 더 많은 것이라고 방통이는 덧붙였다.

이날 방통위는 지금까지 악성코드 유포와 명령 사이트로 추정되는 72개국 738개 IP를 확보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를 통해 긴급차단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