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방정부의 부채 관련 협상이 타결되고 법제화까지 마무리돼 디폴트 위기는 형식적으로는 일단락되었다. 디폴트 타결까지의 정치권의 횡보 및 발표된 경제지표의 실망감은 美신용등급 추가 강등 가능성을 높여가고 있다.
<美정부 리더십에 대한 심리적 불만>
美 상원은 이날 연방정부 부채상한을 최소 2조1천억달러 증액하는 내용의 부채타결안을 표결에 부쳐 찬성 74표, 반대 26표로 통과시켰으며 하원은 전날 통과되었다. 버락 오바마 美대통령은 상원을 통과한 법안이 백악관으로 넘어온 즉시 법안에 대한 서명 작업을 완료, 부채상한 증액 법제화 작업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디폴트 시한인 이날까지 쫓기며 벼랑끝 협상을 벌였던 美 정치권의 리더십 실종과 신뢰 상실로 미국 경제의 신용도는 불투명해졌다는 평가이다. 신속한 절차 진행을 했더라도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려운 상황에서 금번 상황에서도 종전의 여야 대립의 저울질로 시간늘이기 작전을 구사했다는 사실 자체에 현정부가 과연 금번 리스크를 무엇으로 받아들이고 있는가에 대한 회의감이 작동하고 있다.
<보다 냉혹한 현실의 객관적 경제지표>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 전망이 확산의 가장 큰 근거로는 결국 객관적 지표들로 최근 1년간 대응한 정책들이 결국 미봉책에 불과한 것은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상반기 미국 경제성장률이 예상보다 크게 밑돌게 나와 주요 투자은행 또한 미국의 하반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하고 있다.
미 상무부는 지난 6월 소비지출이 전월 대비 0.2% 줄어 지난 2009년 9월 이후 첫 감소세를 기록했다고 이날 발표했고 골드만삭스와 JP모건은 3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연 3.3%, 3.0%에서 각각 2.5%로 하향조정했고 UBS역시 3분기와 4분기에 미국 경제가 각각 연 2.5%, 2.0% 성장에 그칠 것이라며 전망치를 1.0%p씩 낮춰잡았다.
결국 이대로 간다면 미국의 연간 성장률은 2%에도 미치지 못하게 되고 실제로 1분기 성장률은 종전 연 1.9%에서 0.4%로, 상품수지 적자는 큰 폭으로 늘어나고, 2분기 성장률 역시 연 1.3%에 그쳤다.
또한 민간소비지출이 연 0.1%로 큰폭으로 떨어진 것을 비롯 이러한 5월과 6월 중 美 실업률은 3월의 8.8%에서 6월엔 9.2%로 뛰어 올랐다. 미시건대학 소비심리지수는 고용회복 부진으로 2월 77.2에서 7월엔 63.7로 더욱 하락했다
물가 또한 스테그플레이션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3.6%로 석달째 3%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올 1월까지만 해도 1%대 상승률에 그쳤지만 2월에 2%대, 4월에 3%대로 올라섰다.
미국 제조업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제조업지수 또한 2년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7월 제조업 지수가 50.9로 집계돼 2009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 6월에는 55.3으로 20개월만에 최저수준에서 반등하기도 했으나 결국 50선 밑으로 내려가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재 세계적인 경제리스크의 부각 가운데 어느 나라도 이를 상쇄시켜 줄 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미국의 고민이 미국에 국한된 것이 아님을 알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