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규현 기자] 지난 한 주 동안 미국과 유럽의 재정 위기로 인해서 전 세계 주식시장 중에 한국의 증시가 가장 폭락한 가운데, 한국의 증시가 이러한 급격한 변동을 완화시킬만한 정책적 수단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의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후 발생한 한국 증시의 급락은 2008년 말 리먼브라더스 파산보호신청 직후 보였던 상황을 연상시킨다"며 "한국이 2008년 말 국제 금융위기 후 원화 환율 변동성을 줄이고 금융기관의 외국시장 의존도를 낮추는 데 성공했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아직도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는 정책적 수단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지난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금융규제 당국의 관리들이 3일간 긴급회의를 열면서 S&P의 신용등급 강등 조치 후 시장을 안정시키는 성명들을 잇달아 내놓았다고 언급한 후 "특히 지난 9일 금융규제 당국이 주가 급락에 대처하는 방안으로 공매도를 3개월간 금지하는 조처를 했으나, 그 다음 날 아침 관리들은 이 조치를 취소하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주식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을 제대로 수립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지적한 것.
신문은 "한국의 경제상황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전한 데도 국제시장 불안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수출 비중이 그만큼 높기 때문이란 점은 다 아는 사실"이라며 한국의 높은 수출 비중이 이러한 주식시장의 혼란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지적했다.
홍콩 HSBC의 프레데릭 뉴먼 아시아경제연구소장도 이 신문과 인터뷰에서 한국 경제는 국제무역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세계경제 성장이나 수출, 무역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쉽게 대량 주식매도가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