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로비문건 전경련 해체해야" 주장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국회 지식경제위원회가 17일 개최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강화에 대한 공청회'에서 여야 모두 한 목소리로 로비문건과 대기업의 횡포 등을 지적하며 `전국경제인연합회 해체'까지 요구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대기업과 전경련에 대한 질타가 끊이지 않고 이어졌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전경련이 정치권의 반(反) 대기업 정서를 무마시키기 위해 대기업별로 접촉 대상 정치인을 배정한 이른바 `로비문건' 작성이 가장 먼저 도마 위에 올랐다.

민주당 강창일 의원은 "전경련이 `전국경제인로비 연합회'로 전락한 것이 아닌가 싶다"며 전경련 해체를 주장했고, 한나라당 박진 의원도 "전경련은 재벌총수의 사랑방 모임이나 친목도모 모임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중소기업과의 상생에 걸림돌이 되는 대기업의 납품단가 후려치기, 불공정 하도급, 중소기업 업종침해 등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질의 과정에서 탐욕, 야수, 정글, 먹이사슬 등 대기업의 행태를 비난하는 원색적 단어까지 등장하고, 경제단체장들은 미국의 재정건전성 개선을 위해 부자들에게 증세하라고 한 워런 버핏을 본받아야 한다는 쓴소리까지 들어야 했다.

민주당 노영민 의원은 "대기업의 횡포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해 파산에 이를 정도로 배상하는 기업이 나오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같은 당 조경태 의원은 "일본 기업가 중에 `배부른 사자는 더이상 사냥하지 않는다'고 말한 사람이 있다"며 "대한민국 기업가는 국민을 더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공청회에서는 허 회장을 비롯한 경제단체장이 지난 6월 지경위 공청회에 불참했다 이날에서야 모습을 드러낸 것에 대해 "국회와 국민을 모독하고 있다"는 비판이 적지 않았다. 특히 허 회장은 당초 해외 출장을 이유로 불참 입장을 밝혔다가 여론이 극도로 악화되자 이날 허겁지겁 공청회에 지각 참석하는 해프닝을 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