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박재완, 경제성장률 하향조정 시사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29일 정부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조만간 하향조정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박 장관은 이날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서울파이낸셜클럽 초청강연에서 “(정부가) 현재 성장률은 현재로서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지만, 좀 더 지나면 정확한 전망을 다시 한번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성장률에) 전체적으로 하방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박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정부는 이미 지난 6월 30일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운용방향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5.0%에서 4.5%로 하향조정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 계속된 미국과 유럽의 재정위기 등 대외경제 부문에서 기인한 하방 리스크가 커진 상태다. 게다가 이들 국가들이 위기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쉽지 않아 장기화될 가능성이 매우 커진 상태다. 미국과 유럽의 성장 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수출의 비중이 높은 한국 경제의 특성상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런 연장선상에서 박 장관은 “국내 경제가 견조한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하방위험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라며 "세계경제 회복세가 둔화하고 금융시장 불안이 장기화할 경우 국내 경기에도 부정적 영향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수요는 일자리와 소득증가세에 의해 어쩌면 수출보다 성장부문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더 늘어나는 모습을 보일 수도 있다"며 "하지만 역시 대외경제 쪽에서의 위험이 얼마나 투영될 것인가가 관심사"라고 덧붙였다.

이번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가능성이 대내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대외적인 요인에 의한 것임을 밝힌 것이다.

박 장관은 물가에 대해서는 "(올해 전망치인) 4.0%를 지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기상이변이 없다면 4.0%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가상승률은 9월부터 3%대로 진정돼 연말까지 3% 중반 또는 초반 정도 간다면, 당초 목표 4.0%를 달성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 장관은 정부의 취업자 수 33만명 증가 예상에 대해서는 "고용은 초과달성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으며, 160억달러 경상수지 흑자 전망치에 대해서는 “경상수지는 그런대로 목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을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