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LG전자가 스마트 가전제품을 앞세워 2015년 유럽의 생활 가전제품 시장에서 1등에 도전한다.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인 'IFA 2011'에 참석하고 있는 LG전자 HA(홈어플라이언스) 사업본부장인 이영하 사장은 지난 1일(현지시각) 2015년 유럽시장에서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 가전제품의 '스마트화'와 '현지화'를 통해 매출액 기준 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사장은 "2015년 매출액 기준 점유율을 냉장고 12.5%, 세탁기는 13%로 각각 끌어올려 가전의 양대 제품 1위를 차지하겠다"고 밝혔다.
유럽 가전시장은 현재 일렉트로룩스, 밀레, 보쉬, 지멘스 등 전통적인 현지 브랜드가 국가별로 10% 안팎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LG전자는 전체적으로 냉장고 8%, 세탁기 6~7%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LG전자는 점유율을 1위로 끌어올리기 위해 유럽시장에 '스마트 씽큐'(Smart ThinQ)라는 독자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가전을 본격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이 기술은 냉장고 저장 음식을 관리하는 스마트 매니저, 제품 오류를 스마트폰으로 즉각 알 수 있는 스마트 진단, 전원과 기능을 원격 제어하는 스마트 액세스, 조리법이나 세탁 코스를 내려받아 업그레이드하는 스마트 어댑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LG전자는 또 스마트 그리드(지능형 전력망)와 접목해 비싼 요금 시간대에 스스로 절전해 전기료를 아껴주는 스마트 냉장고를 유럽 최초로 상용화해 선보일 예정이다.
스마트 세탁기·오븐·로봇청소기 등을 차례로 론칭한다.
아울러 현지 맞춤형 제품 출시와 물류비용 절감을 통한 원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5년까지 3천400만달러를 투자해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의 냉장고 생산 라인을 종전 30만대에서 최근 100만대로 증설하는 한편, 세탁기 라인을 100만대 규모로 신설한다.
이밖에 190억달러 규모인 유럽 빌트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현지 조리 기능을 적용한 오븐을 선보이는 등 지역적 특성에 맞는 제품 라인업 강화할 방침이다.
이 사장은 "유럽의 모든 시장을 동시다발적으로 공략하기보다 기술력을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은 곳을 공략해 롤 모델을 만들어 점차 확산시키는 전략을 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