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4년 이상 동결되고 있는 서울지역 지하철, 버스, 상ㆍ하수도 등 공공요금이 내달 중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4일 서울시와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주민투표 직후 물러나 앞으로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내년 총선거와 대통령선거 등 정치일정이 줄줄이 이어지면서 서울시 공공요금 인상 여부를 10월에 결론내야 한다는 `10월 적기론'이 힘을 얻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요금 인상이 연내 이뤄지지 않으면 향후 정치일정을 고려할 때 2013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면서 "그럴 경우 연간 5천억원에 이르는 재정결손이 발생해 올해와 내년 2년만 따져도 1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지하철과 시내버스 기본요금(교통카드 기준)은 2007년 4월 800원에서 900원으로 각각 100원 오른 이후 4년째 동결된 상태다.
이로 인해 2007년 이후 올해까지 최근 5년간 누적 적자는 지하철 부문 2조2천654억원, 버스 부문 1조5천392억원으로 총 4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시는 파악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하철과 버스 요금 인상과 함께 각각 10년, 6년간 동결돼 온 상수도 요금과 하수도 요금도 사업적자 해소를 위한 요금 현실화 차원에서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의회도 10월 임시회를 앞두고 깊은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의회는 공공요금 인상이 치솟는 물가를 부추겨 서민의 생활고를 가중시킬 수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하지만, 서울시 재정 건전성을 위한 공공요금 현실화도 외면하기 힘들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어 인상 가능성은 높다.
한편, 서울시 공공요금이 인상될 경우 인천시와 경기도 등 수도권 전체가 보조를 맞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