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올해 들어 돼지고기 가격이 폭등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농림수산식품부가 6일 `돼지고기 수급동향 및 가격안정 방안'을 제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중장기적으로 돼지고기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필요할 경우 돼지의 번식을 제한하거나 농가별 사육규모 상한선을 제시하는 등 강력한 사육규모 조정장치 도입이 검토된다.
또 돼지고기 수요와 가격전망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을 강화하기 위해 돼지수급 예보제가 실시된다.
농식품부는 또 지난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돈육 선물거래'를 활성화해 농가나 업체는 급격한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비토록 하고, 소비자는 안정적인 가격에 돼지고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또 도축ㆍ가공ㆍ유통기반을 갖춘 대형 축산물 가공ㆍ유통전문업체(Packer)를 육성, 축산물 유통단계를 축소하고 산지출하부터 소매단계까지 일관유통시스템을 구축해 유통비용을 절감해나갈 방침이다.
이어 농식품부는 삼겹살 외에 돼지고기 비인기 부위에 대한 소비확대를 도모해 부위별 가격의 하향평준화를 이루고 비인기 부위를 활용한 육가공산업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110kg 돼지를 도축할 경우 정육생산량은 64kg 정도이고, 삼겹살은 12kg에 불과하지만 비인기 부위는 잘 소비가 되지 않고 있다.
이와함께 농식품부는 단기가격안정 대책으로 삼겹살과 후보 모돈 수입시 할당관세를 운용해 공급을 확대하고 양돈농가에게 도매시장과 공판장으로 출하가 확대되도록 독려하며 출하실적에 따라 축사시설현대화사업 등 정책예산지원시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