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현재 시중에 돌아다니는 지폐 100장 중 14장은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천원권은 거의 2개 중에 하나는 못쓸 정도로 다른 은행권보다 유독 훼손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은행권 청결도 수준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 8월 현재 유통 중인 은행권 중 사용권 비중은 85.7%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유통은행권 100장 중 약 86장은 사용에 적합하지만 14장은 손상 정도가 심해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다.
은행권별로 보면 5만원권은 99.7%, 1만원권은 98.1%, 5천원권은 58.4%, 1천원권은 86.6%으로 나타나, 5천원권의 훼손이 특히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5만원권을 제외한 은행권 청렴도는 평균 81.0%로 구(舊) 은행권을 대상으로 조사한 2006년 평균 66.2%보다 14.8%포인트가 오른 것이었다.
지역별 청결도를 보면 상가 지역 86.5%, 농어촌 지역 84.3%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은행권 손상요인으로는 오염, 얼룩, 낙서가 81.4%로 가장 많았고, 귀 접힘이나 테이프, 홀로그램 손상 등이 10.3%, 세탁·탈색이 6.3%, 찢어짐이 2.0%를 차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번 결과에 대해 "5천원 이하 저액권의 청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권종별 발행시기가 다르기도 하지만, 유통빈도와 국민의 화폐사용 습관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저액권은 소매업체와 일반인들이 금융기관에 입금하지 않고 상거래용으로 재사용하는데다 고액권에 비해 소홀히 다루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한은은 저액 은행권의 청결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 손상권을 적극적으로 회수하고 신권을 공급할 예정이며, `돈 깨끗이 쓰기' 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국민의 화폐 사용습관 개선도 유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