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민폐' KT, "2G 서비스 종료하려 기존 가입자 못살게 굴어"

[재경일보 김윤식 기자] KT가 2세대(2G) 이동통신 서비스를 종료하려고 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2G 가입자들에게 큰 불편을 끼치고 있어 방통위에 민원이 폭주하고 있다.

단순히 불편을 끼치는 정도가 아니라 2G에서 3G로 옮기라고 가입자들에게 반강요적인 전화와 문자를 끊이지 않고 보내고 있어 거의 '민폐' 수준의 불편을 끼치고 있다. 그럼에도 KT는 안면몰수하고 사생결단으로 2G 서비스 종료에 목숨을 걸고 있다. 2G 서비스 때문에 4G LTE 서비스에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1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종원(민주당) 의원이 방통위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방통위가 접수한 KT의 2G 종료 관련 민원은 총 451건이다.

관련 민원이 처음 들어온 시점이 3월16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방통위에 3∼7월 5개월간 한 달에 90건 이상, 하루 3건 이상 KT의 2G 관련 민원이 접수된 것이다.

민원 내용은 주로 "10분마다, 하루 수차례씩 전화로 2G 종료를 안내하고, 전화를 안 받으면 문자를 보낸다"는 등 무분별한 안내전화에 대한 것이다. 

또 22일에는 2G 서비스가 마치 종료 확정된 것처럼 허위광고를 내 논란이 되고 있다.

KT가 이처럼 2G 가입자들을 못살게 굴면서까지 안달을 내고 심지어 허위광고까지 내고 있는 이유는 2G 서비스에 사용하던 1.8㎓ 대역에서 4세대(4G) LTE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KT는 애초 7월부터 2G 서비스를 종료하고 이 대역에서 LTE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2G 서비스 이용자들이 많아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리고 이번 9월에도 역시 같은 이유로 방통위로부터 2G 서비스 종료 승인을 받지 못했다. 이로 인해 KT의 2G 서비스 폐지 승인 여부는 다시 두 달 뒤로 미뤄졌고, 이로 인해 KT는 오는 11월 시작하려던 4세대 이동통신인 LTE 서비스를 사실상 올해 안에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됐다.

이에 따라 KT는 지난 7월부터 LTE 서비스를 시작한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경쟁사에 비해 4세대 이동통신(LTE) 서비스를 최소 6개월 이상 늦게 시작할 수 밖에 없는 불리한 상황에 처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속이 탄 KT는 2G 가입자에게 "3G로 전환하면 새 핸드폰을 주고 2년간 요금을 매월 6600원씩 깎아주겠다"는 유인책을 쓰고 있고, 다른 통신업체로 옮겨갈 경우에도 현금 4만원을 '위로금'조로 지급하겠다는 방침을 내걸고 2G 서비스 종료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노인층이 많은 2G 가입자의 월 사용료는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 위주의 서비스라 1만원대에 불과해, 아직도 30만명이 넘는 이용자들이 2G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렇듯 아무리 좋은 조건을 내걸어도 2G 서비스 종료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에 시도 때도 없이 전화를 하고 문자까지 보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2G 사용자들은 이러한 KT의 행태에 대해 사람을 못살게 군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로 인해 KT가 2G 서비스 이용자들이 다른 서비스나 통신사로 갈아탈 수 있도록 더 합리적이고 사려깊은 조치를 내어놓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