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서울 대중교통 요금이 단계적으로 인상돼 내년 상반기에는 200원까지 인상된다.
서울의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되는 것은 지난 2007년 4월 이후 4년 6개월 만이다.
서울시는 수년간에 걸친 요금 동결에다 물가 상승과 환승 할인 등으로 버스와 지하철 운영기관의 적자가 심각할 정도로 누적돼 운영난 해소를 위해 올해 11월 중으로 대중교통 요금을 100원 올리고, 내년 상반기에 100원을 추가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30일 밝혔다.
시의 요금 인상 계획에 따르면, 현재 교통카드 요금 기준으로 900원인 지하철과 간선ㆍ지선버스의 기본요금은 11월 1천원, 내년 상반기 1천100원으로 단계적으로 인상된다.
교통카드로 각각 720원과 450원인 청소년ㆍ어린이 기본요금은 11월 800원ㆍ500원, 내년 상반기 880원ㆍ550원으로 오른다.
서울시는 수년째 계속되고 있는 지하철과 버스 운영에 따른 적자를 더 이상은 감당할 수 없어서 대폭 인상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시에 따르면, 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와 5∼8호선을 운영하는 도시철도공사의 지난해 운영 적자는 4천786억원으로 2007년에 비해 24.1% 늘어났다. 버스회사의 올해 적자 규모도 2007년 대비 86% 증가한 3천69억원에 달하고 있다.
요금이 동결된 지난 4년간 소비자 물가지수가 17.2% 상승한 데다 버스의 주 연료인 CNGㆍ경유 가격이 37%, 전기 요금이 16.1% 오르는 등 물가가 크게 오른 것이 지하철과 버스 적자 누적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무임승차 혜택 대상자인 65세 이상 시민이 크게 늘어난 것도 경영 적자의 주요한 원인으로 꼽혔다. 지난해 무임승차 혜택으로 인한 양 지하철 공사의 손실금은 적자액의 46.5%로 절반에 육박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의 운송 원가를 모두 반영하면 지하철 요금은 약 400원을 인상할 필요가 있다"며 "하지만 시민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상 폭을 200원으로 정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