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국내 기업 실적전망 눈에 띄게 악화…리먼때보다 심각할 수도

유럽의 재정·신용위기와 미국의 경기둔화 영향으로 국내 기업들의 내년 실적 전망이 눈에 띄게 나빠지고 있다.

한국 경제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IT를 비롯해 화학, 철강, 조선, 정유 등 거의 모든 업종이 저조한 성적표를 손에 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내년 국내 기업이 리먼 사태때보다 더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FnGuide)에 따르면, 증권업계가 내놓은 주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65개의 내년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IFRS)는 최근 두 달 동안 104조7천370억원에서 97조4천696억원으로 6.9% 줄었다.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강등 이후 미국 이중침체(더블딥) 가능성이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그리스 국가부도 위험이 높아지며 유로존 재정 위기가 점점 심각해진 8월 초부터 벌어진 일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IT업종을 보면, 집계대상 10개 상장사의 내년 실적 전망치는 7월말 25조2천164억원에서 9월말 22조7천832억원으로 9.6% 급감했다. 대표기업인 삼성전자의 내년 영업이익 추정치는 18조1천175억원에서 17조868억원으로 5.7% 감소했으며, LG디스플레이가 6천331억원으로 37.6%, 하이닉스가 1조4천286억원으로 29.9% 각각 추락했다.

최근 활황이었던 화학 업종에서는 LG화학이 3조6천855억원으로 4.0%, OCI가 1조4천972억원으로 10.5% 각각 줄었다.

조선 업종에서는 현대중공업이 4조7천307억원으로 7.8%, 철강 업종에서는 포스코가 6조8천462억원으로 2.4%, 정유 업종에서는 SK이노베이션이 3조4천275억원으로 12.4%의 감소율을 각각 나타냈다.

현대건설, 대림산업 등 일부 건설회사와 CJ제일제당, 아모레퍼시픽 등 필수소비재 업체의 실적 추정치는 2.0~5.0%씩 상향 조정됐지만, 다른 기업들의 부진한 실적을 덮어낼 수는 없었다.

자동차 업종도 현대차는 8조9천154억원으로 0.1%, 기아차는 4조2천301억원으로 0.3% 각각 줄었다.
 
더 심각한 것은 실적 전망에 관한 심리를 나타내는 이익수정비율이 마이너스(-)라는 점이다. 내년 영업이익 추정치가 앞으로 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KB투자증권에 따르면 한 때 50%에 육박하기도 했던 내년 MSCI Korea 이익수정비율은 지난달 22일 현재 -8.0%로 추락했다.

이익수정비율은 주당순이익(EPS) 예상치의 상향조정 건수에서 하향조정 건수를 뺀 뒤 전체 조정건수로 나눠 구한 백분율이다. 이 비율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가 어두워 EPS 하향조정이 상향조정보다 많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