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9월 소비자물가 4.3% 올라… 상승세 한 풀 꺾여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8월 5%대까지 치솟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월에는 4%대 초반으로 떨어지며 물가상승세가 한 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 가운데서는 금반지, 집세, 고춧가루의 상승폭이 컸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4.3% 올라 8월의 5.3%에 비해 상승률이 1%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달에 비해서는 0.1% 상승했다.

기획재정부 최상목 경제정책국장은 "추석 이후 수요 감소와 기후여건 개선 등으로 채소와 과실류 수요가 안정되면서 물가 상승세가 꺾이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3.9% 올라 8월(4.0%)보다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전월 대비로는 0.2% 올라 11개월째 연속 상승했다.

식료품 등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전월 대비로는 0.1% 올랐다.

생선·채소류·과실류 등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과 전월에 비해 각각 7.4%, 2.7% 내렸다.

부문별로 보면, 농산물(-0.7%)만 지난해 같은 달보다 하락했을 뿐 축산물은 6.7%, 수산물은 8.1% 올라 농축수산물 지수는 2.3%의 상승률을 보였다.

공업제품은 금반지가 36.2% 급등했고, 석유류(16.5%)와 가공식품(8.0%) 등이 오르면서 전체적으로 7.7% 상승했다.

기획재정부는 국제금값 급등으로 인한 금반지 가격의 높은 상승률을 제외하면 9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8% 수준인 것으로 분석했다.

서비스부문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 오른 가운데, 집세가 4.7%, 개인서비스 3.2%, 공공서비스 0.6%의 상승률을 보였다.

농축수산물 주요 품목의 물가 상승률을 보면, 1년 전보다 고춧가루(92.6%), 돼지고기(23.8%), 쌀(13.8%), 갈치(18.2%), 달걀(16.9%) 등이 급등했고, 배추(-27.0%), 파(-44.7%), 쇠고기(국산, -13.3%), 상추(-58.2%), 호박(-51.5%)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은 휘발유(14.6%), 경유(16.4%), 등유(23.9%), 자동차용 LPG(20.2%), 빵(14.4%) 등이 두자릿수의 상승률을 보였다.

서비스 부문에서는 도시가스(4.6%)와 시내버스료(5.6%), 치과진료비(4.7%), 삼겹살 외식(16.7%), 미용료(6.4%), 보육시설이용료(4.2%) 등이 올랐다.

최상목 국장은 "9월 소비자물가 조사품목 가운데 특히 금반지, 전·월세, 고춧가루 가격의 상승폭이 컸다"며 "정부는 물가 상승세는 둔화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앞으로 환율 등 불확실 요인이 여전히 남아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