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생활필수품(생필품) 가격의 상승세가 한풀 꺾이며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10일 한국소비자원이 지난 9월의 102종 생필품 가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46.1%(47종)은 지난달보다 가격이 상승했지만, 43.1%(44종)는 전월보다 가격이 내렸다.
상승한 품목이 많기는 하지만, 전월 대비 생필품 가격이 하락한 품목이 지난 8월 21종에서 지난 9월 44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상승 품목은 77종에서 47종으로 급감했다. 가격 변동이 없는 품목도 4종에서 11종으로 늘었다.
생필품 가격은 지난 6월에 62종이 전월 대비 상승한 이래 7월에 64종, 8월에 77종으로 상승 품목이 계속해서 늘어나면서 물가 당국과 소비자들에게 큰 부담을 줬었다.
소비자원 측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지난달 기상 이변으로 무와 배추 등 채소 가격이 폭등했으나 9월 들어 기상이 좋은데다 가을 출하철로 공급이 확대돼 전반적인 가격 안정세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지난 9월에 전월 대비 가격이 가장 많이 내린 품목은 무(-10.2%)와 배추(-6.5%)였다.
이 외에 부침가루(-6.2%), 된장(-4.1%), 세탁 세제(-2.7%), 참기름(-2.3%), 돼지고기(-2.1%), 스킨로션(-2.0%) 등도 생필품 가격 하락세를 이끌었다.
소비자원 측은 "지난 8월에 전월 대비 63.9%와 53.7%가 상승했던 무와 배춧값이 9월에 큰 폭으로 내렸다"면서 "채소류 가격은 앞으로 출하가 확대되면서 계속 안정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금겹살'로 불릴 정도로 가격이 치솟았던 돼지고기는 지난 8월 전월 대비 6.8% 하락한 데 이어 9월에도 2.1% 내려 예년의 가격을 조금씩 찾아가고 있다.
반면 레토르트식품(4.0%), 딸기잼(3.5%), 콜라(3.3%), 일반샴푸(3.2%), 러닝셔츠(3.0%), 혼합조미료(2.9%), 쇠고기(2.9%), 고무장갑(2.8%)은 9월에 전월보다 올랐다.
개별 상품별로는 CJ제일제당의 부침가루 '백설부침가루'가 전월 대비 8.8%로 가장 많이 내렸고, 대상의 된장 '순창 재래식된장'(-8.6%), LG생활건강의 섬유탈취제 '샤프란 상쾌한 숲속의 향'(-6.4%)이 뒤를 이었다.
9월에 전월 대비 가장 가격이 많이 오른 상품은 보령메디앙스의 물휴지 '닥터아토마일드(묶음)'로 13.4%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