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9월 생산자물가 상승률 5.7%... 올해 최저치로 떨어져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채소값과 국제원자재가 하락의 영향으로 9월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올해 들어 최저치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9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7%에 그쳐 지난해 12월 5.3% 이후 가장 낮았다.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올해 들어 6~7%대의 높은 수준을 이어오고 있었다.

그러나 9월달 들어 국제원자재와 농축수산물 가격이 떨어지면서 5%대로 내려앉았다.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은 채소가 하락세로 돌아선데다 축산물, 수산식품의 오름폭까지 크게 축소되면서 지난해 같은 달보다 7.1% 떨어졌다.

특히 채소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전월보다 무려 45.3%포인트나 떨어진 -31.5%를 기록했다. 이는 2008년 10월 -32.6%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하지만 곡물은 22.0%에서 23.0%로 1% 오르며 3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공산품은 국제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1차 금속제품의 오름폭이 둔화됐으나, 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이 오르면서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전월(8.0%)보다 0.2% 오른 8.2%로 나타났다.

서비스는 금융·통신 부문의 하락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 오르는데 그쳤다.

특수분류별로는 식료품과 신선식품이 각각 1.2%, 28.2% 내렸다.

에너지는 15.6% 상승해 전월(15.2%)보다 오름폭이 확대됐으며, IT는 1.7% 떨어지면서 전월(-2.3%)보다 내림폭이 축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