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S&P "올해ㆍ내년 한국 성장률 각 4.3%"... 북한리스크 제외 신용등급 표기 불가능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한국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을 각 4.3%로 전망했다.

또 자동차산업의 신용전망은 긍정적이고 정유ㆍ화학산업, 통신산업, 공기업 등은 안정적인 반면, 철강과 하이테크 산업은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통일시 한국의 신용등급은 A 마이너스(-)에서 BBB등급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으며,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요청한 북한 리스크를 제외한 신용등급 이중 표기는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17일 오후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국제금융센터가 개최한 `한국 신용등급 전망: 정부, 은행 및 기업' 세미나에서 권재민 S&P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기업 신용평가 담당 전무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올해와 내년 각각 4.3%로 본다"고 밝혔다.

산업별 신용전망은 자동차산업의 경우 현대차 그룹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증대로 신용평가가 지속적으로 개선 중임 점을 고려해 긍정적이라고 밝혔고, 정유ㆍ화학산업은 올해 중 정제 마진의 개선, 고도화 설비 투자 효과 등으로 국내 정유 3사(社)의 신용이 회복되고 있는 점을 들어 안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통신산업과 공기업 신용전망도 안정적인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글로벌 수요 침체 가능성과 경쟁심화 등을 이유로 철강과 반도체나 액정표시장치(LCD) 등 하이테크 산업의 신용전망은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올해 등급이 상향조정된 기업은 없고 하향조정된 기업은 LG전자와 포스코 건설 등 2개였다. 전망 상향조정 기업은 현대차, SK, 에너지 회사 등 9개이고 전망 하향조정 기업은 한군데였다.

신용평가 시 고려되는 한국 기업의 특징으로는 ▲복잡한 지배구조 ▲유동성 관리문제 ▲외부환경에 취약한 구조 ▲노사문제 ▲규제위험을 꼽았다.

한반도가 통일되면 한국의 신용등급은 BBB등급까지 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킴엥 탄 S&P 정부 및 공공기관 신용평가 담당 상무는 "2012년 통일될 것으로 가정한다면 안보리스크는 감소하겠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은 증가할 수 있다"며 "통일 시 한국의 신용등급은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 근거해도 A 마이너스(-)에서 BBB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여기서 한 등급 정도 상향조정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2012년을 통일 원년으로 가정했을 때 1인당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2011년 약 2만2천달러에서 1만2천달러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북한 리스크를 제외한 신용등급 결과를 발표하되 각주에서 북한 리스크를 포함한 등급을 따로 달아주는 방식이 어떻겠냐고 제안한 것과 관련해선 "투자자에게 매우 혼란스러운 시그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등급을 매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금융기관과 기업의 신용등급은 투기등급 비중이 매우 낮은 점이 특징으로 꼽혔다.

채정태 S&P 한국사무소 대표는 "한국 기관들의 신용등급 분포를 전 세계 신용등급 분포와 비교해보면 투기등급 비중이 매우 낮고 A등급에 집중된 현상을 보인다"면서 "한국의 투기등급 비중은 6.0%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투기등급은 BB등급과 B등급의 합이다.

우리나라의 A등급 비중은 60%에 달했고 BBB등급이 34%를 차지했다.

반면 신흥국과 미국의 투기등급 비중은 각각 55.8%와 51.5%로 높고, 유럽과 기타 선진국 역시 21~24%의 비중을 보였다. 전 세계 투기등급 비중은 44.1%였다.

S&P는 글로벌 규제 변화가 국내 은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전망했다.

리테쉬 마헤시와리 S&P 금융기관 신용평가 담당 전무는 "국내은행의 평균 기본자본비율(Tier1)은 올해 2분기 11.6%로 높고 자본 질도 우수해 자본적정성 규제가 대형은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다만 "2009년 말 5개 대형은행의 평균 유동성커버리지비율과 순안정자금조달비율은 각각 76%, 93%로 글로벌 대형은행 평균치를 밑도는 만큼 유동성 규제에 대한 추가보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내은행의 장기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이나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 건설업체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건전성 압박 등이 부정적 요인이 상존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