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우성 기자] 이달 KT가 2G 이동통신 서비스를 종료하고 4G LTE(롱텀에볼루션)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달 중순 이후 KT의 2G 폐지 계획을 승인할지 결정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지난 9월19일 전체회의에서 KT의 2G 폐지 계획을 접수하되, 폐지 승인 여부는 60일 후 2G 이용자 전환 등 상황을 보고 판단하기로 의결한 바 있다.
KT는 4월 처음으로 방통위에 2G 종료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2G 가입자가 많아 승인 유보 판정을 받았고, 7월 새로운 가입자 보호 대책을 마련해 재신청을 했다가 같은 이유로 또 거절당한 데 이어 이번 달에 2G 종료 '삼수'에 도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KT는 2G 가입자들을 자사의 3G 서비스 등이나 다른 통신사로 옮겨 타게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등 2G 가입자 줄이기에 총력을 기울여, 현재 2G 가입자는 올 3월 110만명, 8월 34만명에 비해서 대폭 감소한 19만명 가량에 불과하다. KT는 잔존 2G 가입자가 크게 줄어든만큼 이번에는 2G 서비스 종료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도 지난 2일 국회 예산심의에서 "상임위원들과 논의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적으로 잔존 가입자가 전체의 1% 수준이 돼야 2G 종료를 승인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이달 안에 전체 가입자의 1%인 16만3천명 수준으로 2G 가입자 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정황으로 인해 KT는 이미 이번에는 2G 서비스 종료 승인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2G 망으로 이용 중인 1.8㎓ 주파수 대역에 새로 구축할 LTE 장비를 준비해 놓고 있으며, 최근에는 '성질 급한 한국 사람'이라는 주제로 LTE TV 광고도 내보내고 있다.
최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연구원이 쓴 2G 서비스 종료 관련 연구 보고서도 KT에 유리한 결론을 내놓았다.
ETRI의 김성철 박사는 '2G 서비스 종료 관련 쟁점 이슈 검토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현재 KT의 2G 이용자 비율은 해외 2G 종료 당시 비율보다 낮으며, 보상안도 충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며 "2G 서비스가 지체돼 LTE 도입이 늦어지면 잠재 LTE 이용자들이 피해를 보며, 국가 자원인 주파수의 이용 효율성이 저하된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또 "2G 가입자를 전환하는 데 드는 비용은 단말기·가입비 지원, 요금 할인, 2G 전파사용료와 네트워크 유지 비용 등 직·간접적으로 1인당 110만원으로 추산된다"며 서비스 전환이 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KT의 2G 종료에 거부 반응을 보이는 이용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데다 가입자 보상안에 대한 불만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방통위는 KT가 2G 가입자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용자 이익을 침해했는지도 고려해 2G 종료 승인을 결정할 방침이다.
KT는 "이달 2G 종료 승인을 받고 LTE 망 구축을 서두르면 연내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며 이미 지난 7월 LTE를 상용화하고 9월 말부터 LTE 스마트폰을 출시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에 뒤지지 않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