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이원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신흥국가의 부족한 인프라 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원은 최근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코트라 주최로 열린 '신흥시장 트렌드 콘퍼런스'에서 "2025년까지 신흥국가는 세계 인구의 60%, GDP 증가액의 75%를 차지할 것"이라며 "전력, 도로, 상하수도 등 기초적인 인프라조차 부족한 아프리카와 아시아 저개발 국가의 발전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코트라의 조기창 암만 무역관장은 "레반트 지역(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레바논 등 지중해 동쪽 연안국)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최근 경제발전으로 자동차, 가전제품, 의료서비스 등 우리 상품의 수요가 레반트 지역에서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관장은 "특히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 최근 3년간 우리나라 수출이 200%가량 늘었다"며 "우리 기업들의 더욱 적극적인 진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중동정세 전문가인 서정민 한국외대 교수는 "중동 주요국들이 과거처럼 오일 머니를 펑펑 쓰는 것이 아니라 기술협력 및 제조업 활성화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를 안정화하는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며 "높은 기술력을 가진 우리 중소기업들은 현지 진출 기회가 많아질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