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국내 최고경영자(CEO)의 거의 대부분에 해당하는 무려 98.8%가 리스크에 대응하는 것이 과거보다 어려워졌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가 지난달 31일부터 지난 4일까지 CEO 2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6일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경영에서 리스크 대응이 과거보다 어려워졌느냐'는 질문에 98.8%가 그렇다고 답했다.
리스크 대응이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환율, 자금 조달비용 변동 등 금융불안'이라는 답변이 31.3%로 가장 많았고, `수요 감소, 공급 과잉 등으로 인한 경기침체'(30.2%),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원가 부담'(12.7%) 등이 뒤를 이었다.
리스크 관리에 있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전문지식의 부족'(38.5%)을 가장 많이 꼽았고, `비용 부담'이라는 답변은 27.8%, `리스크 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은 23.0%를 차지했다.
자신이 경영하는 조직의 리스크 관리 수준에 대한 질문에는 36.5%가 `전혀 리스크 관리를 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고, `통합적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답변은 10.7%에 그쳤다.
효율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해 가장 먼저 개선돼야 할 점으로는 42.1%가 `리스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라고 밝혔다.
연구소는 "이번 설문은 전반적으로 국내 많은 기업이 전문지식 부족과 비용 부담으로 리스크에 노출돼 있음을 보여준다"며 "관련 교육을 확대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